미국 정부, 중국 알리페이·위챗페이 제재 검토…세계 최대 IPO 타격입나

입력 2020-10-08 15:46수정 2020-10-08 15: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블룸버그 “최근 알리페이·위챗페이 겨냥 제재 논의 가속화” -40조원 규모 IPO 앞둔 앤트 타격 입을 우려 -중국의 보복 조치 이어지면 미국 금융업체도 피해

▲중국 핀테크 기업 앤트그룹의 전자 결제 서비스 알리페이가 스마트폰 화면에 띄워져있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중국 앤트그룹과 텐센트홀딩스의 결제 시스템을 대상으로 제재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의 앤트그룹과 텐센트홀딩스의 결제 시스템을 대상으로 제재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미국 정부의 제재가 현실화한다면 금융 분야에서 새로운 미·중 갈등이 터질 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규모 기업공개(IPO)로 기대를 모은 앤트에도 타격이 가해질 전망이다.

익명의 관계자들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앤트그룹의 알리페이와 텐센트의 위챗페이를 겨냥한 제재를 논의하고 있다. 최근 몇 주 사이에 백악관 고위 관료들 사이에서 제재 부과 여부와 방식에 대한 논의가 가속화됐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지난달 30일 백악관 상황실에서 이 문제가 회의 안건에 올랐지만, 아직 최종 결정이 임박한 것은 아니다.

제재 부과를 결정한 이유는 이들 기업의 결제 시스템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우려 때문이다. 중국 핀테크 기업이 전 세계 은행 시스템에 진출한다면 이용자 수억 명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관계자들은 앤트그룹을 포함한 중국 핀테크 기업이 글로벌 디지털 경제를 지배하게 될 것이란 우려가 미국 고위 관료들 사이에 퍼져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제재 부과 방안이 트럼프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됐는지는 전해지지 않았다. 고위 관료들의 회의 이후 하루 만에 트럼프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정상적인 업무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미국이 합법적인 제재 방안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어 정책 시행까지 시일이 걸릴 것이란 관측도 있다.

미국이 실제로 제재를 부과한다면 중국 상하이와 홍콩 증시에 동시 상장을 계획한 앤트에 큰 타격이 될 가능성이 있다. 앤트는 지난 21일 IPO를 통한 자금조달 목표를 종전 300억 달러에서 최소 350억 달러(약 40조 원)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업체 사우디아람코의 기록인 290억 달러를 넘는 액수에 역대 최대 규모 IPO가 될 것이란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앤트의 기업가치는 2500억 달러로,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씨티그룹의 시총을 훌쩍 넘게 된다.

앤트의 수익은 대부분 중국 시장에서 나오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 부과는 알리페이의 글로벌 시장 진출과 성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를 꺾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데이비드 멜로우 IPO파이낸셜닷컴 사장은 “언젠가 미국 시장에 앤트가 진출할 것이라는 전망은 아드레날린을 촉진한다”며 “(제재가 부과되면) 투자자들은 이제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앤트와 텐센트를 향한 제재는 중국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미국 금융 업체들에도 위험 신호다. 미국의 양대 신용카드 업체인 비자카드와 마스터카드는 알리페이와 위챗페이의 디지털 지갑에 자사 서비스를 추가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계약을 통해 비자와 마스터카드 이용자는 중국 본토에서 앱을 이용한 결제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역시 6월에 중국 시장 내 카드 결제 서비스 출시 승인을 받았다. 만약 미국이 중국 핀테크 기업에 제재를 부과하면, 중국 정부도 미국 금융 업체에 보복 조치를 할 우려가 있다.

앤트는 성명을 내고 “제재 부과에 관한 어떠한 논의도 알지 못한다”며 “우리는 주로 중국 시장에서 사업을 하며 중국 시장 내 성장 전망을 기대하고 있다”고 당혹감을 표했다. 텐센트와 백악관, 재무부는 블룸버그의 요청에도 논평을 거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