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
ESG 투자가 어느덧 글로벌 금융시장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해 지속가능한 투자에 대한 필요성과 경각심이 급속하게 확산했고, 그중에서도 자연 앞에서 인간이 한없이 나약함을 새삼 깨닫게 되면서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적 고려가 높아졌다. 그러자 ESG 투자에 돈이 몰리기 시작했다.
유럽은 가장 먼저 ‘지속가능한 투자’ 관련 어젠다를 만들어 냈고, 연기금 및 대형 자산운용사를 중심으로 선제적 ESG 투자를 단행했다. 미국도 올해 3대 자산운용사를 필두로 ESG 요인을 고려한 상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돈이 몰리면 수급의 힘으로 투자 수익률이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를 맞게 된다. 상반기 미국 ESG 펀드와 ETF로의 자금 유입은 209억 달러에 달했다. 착한 투자는 수익률이 낮다는 통념과 달리 이제는 ESG 투자가 높은 수익률로 연결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 것이다. 실제로 올해 코로나로 인해 전 세계 금융시장이 역대급 변동성을 경험했지만, 친환경 투자자들은 안정적 수익을 누릴 수 있었다.
ESG 틀 내에서도 E(환경)에 초점을 맞춘 투자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사회와 지배구조 요소는 계량화하기 어렵지만, 환경 요소는 탄소 배출량 또는 감축량,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전기차 비중 등을 통해 객관화하기에 용이하고, 신재생과 뉴모빌리티를 큰 축으로 영역이 명확하기 때문일 것이다.
코로나 이후 ‘그린뉴딜’이라는 글로벌 정책 공조가 더해지며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이제는 성장동력과 산업 육성 등 경제적 목적을 위해 친환경에 집착하기 시작했다. 대규모 경기부양책의 중심에 그린 뉴딜이 있다. 미국에서 바이든 정부가 출범한다면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우리 정부도 그린 뉴딜 정책 육성을 강력하게 표방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발전 원가(균등화발전비용)가 그리드 패리티에 도달하면서 확산이 빨라지고 있다. 전기차는 배터리 가격 하락과 전용 플랫폼 출시 등을 계기로 내연 기관 차량과 경쟁할 수 있는 원가 구조를 갖추기 시작했다. 그동안 정책 논리였다면 이제는 시장 논리에 의해 본격적 성장 기반을 마련해 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전력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충전소, 인버터, 스마트그리드, 전력용 반도체 등이 요구된다.
때마침 배터리, 전기차 등 친환경 산업이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이익을 내기 시작하는 등 질적 개선이 수반되고 있다.
앞으로도 국가별 정치적 불확실성과 정책 변화 우려가 상존하겠지만, 달라지는 것은 속도뿐이지 방향성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유럽과 중국이 그린 뉴딜 산업의 주도권을 쥐려고 혈안인데, 미국이 정당 간 정치 철학이 다르다고 해서 뒷짐을 지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미국의 경우 주정부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도 불확실성 완화 요인이다.
그린 산업에 투자하는 슬기로운 방법의 하나가 ETF일 것이다. ETF를 활용하면 재생에너지, 뉴모빌리티, 연관 기술 등 다양한 산업과 미국, 중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 개별 종목이 아닌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위험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국가마다 에너지원별, 기술별 발전 속도가 다른데, 효율적 대응이 가능하다. 예컨대 태양광은 중국이 앞서고, 해상 풍력은 영국 등 유럽이 앞서 가며 풍부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ETF는 성장 초기인 그린 산업에서 개별 종목을 선별해 내는 수고를 덜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