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보고서] 미 달러화 약세 “한은도 예의주시”

입력 2020-12-10 14: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환율, 금융외환시장 및 실물경제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있어”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 줄었지만 수출기업 채산성엔 부정적”
미 연준 완화적 통화정책+재정적자 규모 확대+코로나19 확진자 증가 여파

▲한국은행은 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원화가치 상승, 달러화가치 하락)이 금융외환시장 및 실물경제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이 있다며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10일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가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점에서 열린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에서 답하는 모습. (한국은행)

“한국은행도 시장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10일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 2020년 12월호’ 설명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정책당국이 (환율전망을) 언급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환율이 금융외환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원·달러 환율 하락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줄었다면서도 수출기업 채산성엔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박 부총재보는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에 비해 줄었다. 품질경쟁력이 옛날보다 나아졌고, 수입중간재 투입비중이 늘었으며, 생산시설 해외이전이 많기 때문”이라며 “수출은 환율 이외에 글로벌 수요, 교역상황에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원·달러 환율 하락시 수출기업 채산성엔 부정적”이라며 “실물경제에 부담요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은은 최근 달러화 약세 지속 이유로 미국 연준(Fed)의 완화적 통화정책, 재정적자 규모 확대, 여타국가 보다 빠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등을 꼽았다. 실제 미 달러화 인덱스(DXY 지수)는 코로나19 대유행 직후인 3월20일 102.8까지 올라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후, 11월25일 91.99까지 떨어졌다.

(한국은행)
연준은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해 대규모 자산매입정책을 펴왔다. 이에 따라 올 3~9월 평균 미국내 통화량(광의통화 M2 기준) 증가율이 20.4%를 기록하는 등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기간 유로지역(EU·9.1%)과 일본(6.4%) 증가율을 크게 웃도는 것이다. 단기자금시장에서 주요 통화의 스왑베이시스가 과거 평균 수준(2017~2019년 -22bp)을 웃돌아 미 달러화 자금사정도 크게 개선됐다.

3월중엔 150bp 정책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또, 저금리 장기화 기대를 형성한 점도 주효했다.

대규모 경기부양책 시행에 따른 재정적자 규모 확대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 미국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총 4회에 걸쳐 사상 최대 규모인 총 2조6000억 달러의 재정지원책을 시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금년중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규모는 18.7%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유로(-10.1%)와 일본(-14.2%), 영국(-16.5%) 등 주요 선진국은 물론,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9.8%)도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