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초청받은 삼성전자, 중국 빠진 한·미·일 반도체 공급망 새판 짠다

입력 2021-04-04 15:08수정 2021-04-04 18: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백악관, 12일 업계 관계자 초청해 '반도체 품귀 논의'
미 제조공장 없는 SK하이닉스도 초정 가능성 열려 있어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서도 반도체 비중 있게 다뤄
16일 미·일 정상회담서 워킹그룹 신설 전망

미국이 한·미·일을 주축으로 중국을 배제한 반도체 공급망 동맹 구축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반도체 수급 확보가 국가 경쟁력을 넘어 안보와 직결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자 미국이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바꾸기 위한 새 판짜기에 나설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미 미국의 움직임은 시작됐다. 3일(현지시간) CNN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국가안보, 경제 보좌관들은 오는 12일 반도체 공급 부족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해 업계 관계자들을 백악관으로 초청할 예정인데 여기에 우리나라 삼성전자가 포함됐다. 제너럴모터스(GM) 등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는 자동차 업체들도 초청됐다.

이와 관련해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에 제조공장이 없는 SK하이닉스도 해당 회의에 초청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바이든 정부는 반도체 생산 지원 의지를 밝히는 동시에 한국과 일본 기업에는 미국 내 투자를 압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와 별개로 2일 미국에서 열린 한미일 3국 안보실장 회의에서도 북한 이슈와 함께 반도체 공급 부족이 비중 있게 다뤄졌다. 한 미국 정부 관계자는 “민첩하게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우선 과제였다”면서 “3개국은 반도체 제조기술이 미래를 위한 많은 열쇠를 쥐고 있다는 데 공감했다”고 말했다.

또 닛케이에 따르면 미국과 일본은 오는 16일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미·일 정상회담에서 연구·개발(R&D)과 생산 체제 등에서 역할 분담을 위한 관계 부처 워킹그룹을 신설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그간 반도체 산업을 안보보다는 글로벌 공급망 관점에서 바라봤다. 이에 2000년대부터 미국은 개발과 생산을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미국 기업이 반도체 설계(팹리스)에 집중하는 동시에 자본 집약적인 생산은 아시아 업체에 위탁하는 식이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의 지난해 9월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계 반도체 생산 점유율에서 대만과 한국이 각각 22%, 21%를 차지한다. 미국의 경우 팹리스로 반도체 산업의 구조 전환을 하는 과정에서 생산 점유율이 1990년 37%에서 12%대로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서부터 올해 겨울 미국을 강타한 한파와 세계 반도체 공급 한 축인 대만의 가뭄 등 자연재해로 심화한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가 미국 산업 전반을 강타했다. GM은 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완성차 감산을 발표했고, 미국 최대 가전기업 월풀 중국법인에서도 최대 25%의 물량 차질이 생겼다.

수급난이 커지자 미국의 불안감이 커졌고 이제 생산도 직접 챙기기에 나선 것이다. 반도체는 국가기간시설 운영과 스텔스 전투기, 최첨단 미사일, 군사위성 등에서도 핵심 부품으로 손꼽힌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2조 달러가 훌쩍 넘는 인프라 부양책을 발표하면서 반도체 산업 육성과 미국 내 생산 시설 확충 등에 500억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는 단기적으로 자국 내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는 중국이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국으로 올라서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반도체 굴기’를 위해 수년간 이 분야에 막대한 투자금을 투입한 중국의 경우 지난해 15%로 미국을 추월했으며 2030년에는 24%까지 점유율을 늘려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