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석탄이 에너지 공급 절반
선진국, 실업·전기료 인상·증세 등에 노동자층 반발 거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전문가와 경제학자 분석을 인용해 글로벌 탄소 배출 감축 목표에 막대한 비용과 정치적 장애물이 기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탄소 배출 세계 1위인 중국과 3위 인도를 예로 들며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은 이유를 짚었다.
중국 칭화대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2060년까지 탄소 순 배출 ‘제로(0)’를 선언한 중국 정부가 목표를 달성하려면 30년간 21조 달러(약 2경367조 원)를 투자해야 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2.5% 이상에 달하는 자금을 매년 투입해야 한다는 의미다. 중국은 지난해 에너지 소비의 56.8%를 석탄에 의지했으며, 1082개의 석탄발전소에서 1100기가와트(GW) 가까운 전력을 생산했다.
인도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인도 내 석탄 공급은 전체 에너지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승인된 신규 화력발전소들 전체 전력 생산량은 100GW에 이른다. 인도는 석탄 소비 세계 2위를 차지하는 국가로, 전 세계 점유율은 현재 11%에서 2030년 14%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주 기후변화 정상회의에서 2030년까지 450GW의 재생에너지원을 마련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지만, 전문가들은 내년까지 175GW라는 중간 목표도 달성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현재 인도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94GW에 불과하다.
국제노동기구(ILO)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으로 6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지만,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400만 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전환 초기 피해를 보는 노동자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 이들은 소비자로서 전기요금 인상과 석유, 자동차 등에 대한 높은 세금에 직면할 문제가 있다고 WSJ는 지적했다. 실제로 독일의 전기 가격은 지난 10년간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급등했으며, 프랑스에서는 2018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유류세 인상에 반대하는 노란 조끼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WSJ는 “유럽 국가들이 기후 대응 계획을 추구함에 따라 석탄 업계는 대량 해고를 준비하고 있다”며 “정부의 능숙한 정치적 대응과 혁신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