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9일 기준 포털 등에 게시된 전국 아파트 매물은 28만9544건이다. 열흘 전인 지난달 29일(29만5629건)보다 2.1%(6085건)이 줄었다.
지역별로 봐도 전국 17개 모든 시ㆍ도에서 아파트 매물이 열흘 전보다 감소했다. 경기도에서 열흘 만에 매물 1287건(-1.7%)이 사라졌다. 서울(-711건)과 경북(-544건), 인천(-522건) 등에서도 매물이 500건 이상 줄었다.
올해 주택시장에서 연초 감소하던 매물이 2월 말, 3월 초를 기점으로 반등하기 시작했다. 서울에선 2월 15일 매물이 3만7973건까지 감소했다가 지난달 15일 4만8572건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달 9일엔 4만7410건으로 다시 줄어들었다.
부동산시장에선 이런 흐름이 세제 정책과 연관됐다고 평가한다. 6월부터 다주택자 세금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6월부터 세종 등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주택을 처분하면 기본세율(6~42%)에서 2주택자는 20%포인트(P), 3주택 이상 보유자는 30%P씩 양도세 세율이 중과된다. 과세 기준일인 6월 1일을 기준으로 규제지역 다주택자라면 종부세 세율(1.2~6.0%)도 지난해(0.5%~3.2%)보다 두 배 이상 높아진다. 세금 부담을 줄이려는 다주택자라면 6월 이전 집을 줄여야 한다는 뜻이다.
절세용 매물 증가는 부동산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다. 연초 높아지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매물이 증가하기 시작한 3월부터 낮아진 건 이런 배경에서다. 지난해에도 장기 보유 다주택자를 양도세 중과에서 배제해 줬던 5월까지 절세용 매물이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일시적으로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문제는 절세용 매물이 들어가면 집값 완충 장치가 사라진다는 점이다. 지난해 역시 장기 보유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가 종료되면서 매물이 감소하고 집값 상승세가 다시 가팔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