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변이’로 전 세계가 또다시 코로나19 공포가 확산되면서 국내외에서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mRNA 플랫폼 백신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바이오업계가 차세대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9일 열린 ‘K-mRNA 컨소시엄’ 출범식에서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 등 3사와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하 KIMCo)은 ‘mRNA 코로나19 백신의 플랫폼 기술 확보’를 위해 목소리를 모았다.
특히 K-mRNA 컨소시엄은 △원료 △백신 제조 △신약개발 등 각 분야에 강점을 지닌 기업들이 팀을 이뤘다. mRNA 코로나19 백신의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면서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춰 백신 자급화와 글로벌 경쟁력까지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컨소시엄에서 각 회사의 역할은 조금 다르지만 목표는 같다. 특히 2022년 상반기에 전 국민 접종 가능 물량인 1억 도즈 이상을 생산 및 긴급사용승인 받는 것이 목표다.
또 신약 원료의약품(API)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기업 에스티팜은 mRNA 핵심기술 및 코로나백신 비임상독성시험 후보 물질 확보했고 mRNA 전용 GMP공장 설비 구축까지 마쳤다.
백신주권 선도주자인 GC녹십자는 완제 4억 도즈의 백신 cGMP 생산 공장 확보했고 mRNA 백신 신속 개발 및 상용화 생산 가능하다.
아울러 KIMCo는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과 소통하고 사업 전반을 조율하고 정부와 국회 등 대내외 원활한 지원을 담당한다.
향후 이들 기업 외에도 mRNA 기술과 원부자재 개발·생산 관련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및 대학 연계 산학연구소 등으로 K-mRNA 컨소시엄 참여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문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백신 패러다임이 바뀐 것 같다. mRNA로 이미 모더나와 화이자가 증명했다”며 “이번 컨소시엄을 통해 우리나라 스스로 앞으로 나올 변이 바이러스까지 극복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2년 코로나19 mRNA 백신 기술 자립화 및 개발 성공으로 백신주권을 확립하고 난 뒤 2023년에는 코로나 변이 및 신종 팬데믹에 대응한 mRNA 플랫폼 기반의 백신을 대량 생산하고 글로벌 백신 허브를 구축한다. 또 2025년까지는 글로벌 제약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mRNA 플랫폼 기반 항암백신 및 차세대 혁신신약 개발에 힘쓸 계획이다.
허경화 KIMCo 대표는 “전주기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임상, R&D, 생산, 인력 등 다양한 것들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모든 자원들이 얼마나 필요한지 빅픽쳐는 그린 상태로 각 기업의 역할 분담과 이것들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