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후 50일…경제협력 구체화 조짐에 'BㆍBㆍC' 업계 예의주시

입력 2021-07-06 15:00수정 2021-07-06 17: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외교부, 'BㆍBㆍC 분야 대미 공공외교 추진 방안' 마련 착수

▲문재인(왼쪽)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 시각) 오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5월 '한미 정상회담'이 열린 지 약 50일 지났다. 미국 주도 글로벌 공급망을 위한 양국의 경제 협력 방안이 점차 구체화하면서 관련 핵심 분야인 '배터리, 바이오, 반도체(BㆍBㆍC)' 업체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6일 이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외교부는 최근 내부적으로 'BㆍBㆍC 분야 대미 공공외교 추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BㆍBㆍC 분야 관련 정책 현황을 파악하고, 한미 양국의 정책을 비교한 뒤 이를 바탕으로 미국 정부의 의사결정자, 유관 기관, 관련 업계 등 대상별 추진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앞선 한미 정상회담에서 BㆍBㆍC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내용의 연장선상으로 풀이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양국이 협력할 때 시너지가 큰 BㆍBㆍC 분야에서의 공공외교를 통해 한미 간 협력 기반을 확대하고 강화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관련 분야에서 분야 양국의 차세대 전문가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월 22일 열린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양국의) 시너지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는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4대 그룹은 이에 맞춰 총 44조 원이 넘는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 이후로 BㆍBㆍC 업계는 미국 투자에 각기 다른 움직임을 보여왔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적극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지만, 바이오와 반도체 분야에서는 다소 소극적인 모양새다.

양국 정부의 경제 협력과 관련 지원책이 구체화하면 BㆍBㆍC 업계 전반에서의 대규모 투자가 현실화할지 관심이 쏠린다.

현재 BㆍBㆍC 업계에서 투자에 가장 속도를 내는 분야는 배터리다. 정상회담 이전부터 생산설비 확대에 주력해온 K배터리는 이번 회담 이후 투자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적극적이다. 둘이 합쳐 총 16조 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에 자체 투자를 비롯해 GM과의 합작 법인을 통한 투자로 2025년까지 연산 140GWh(기가와트시)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1GWh가 대략 전기차 1만5000대분에 해당하는 공급량이라는 걸 고려하면 전기차 210만 대 규모의 배터리 생산 능력이다.

SK이노베이션도 자체 생산설비와 포드와의 합작 투자 등을 합쳐 2023년까지 21.5GWh의 생산 규모를 확충한다.

삼성SDI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확정 짓진 않았지만, 미국 투자를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다.

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양국 정부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인 만큼 앞으로 투자 시계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반도체와 바이오 분야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5월 미국 신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 구축에 총 170억 달러(약 2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지만, 한 달이 넘어가도록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공장 설립 지역을 놓고 세부 인센티브 협상이 끝나지 않아서다. 삼성전자는 기존 파운드리 공장이 위치한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을 비롯해 애리조나주, 뉴욕주 등을 놓고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텍사스주는 기존 오스틴 공장(14나노미터 공정 팹)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노릴 수 있다. 애리조나주는 1조 원 규모의 세제혜택 등을 내세우고 있고, 뉴욕주는 반도체 지원법을 발의하는 등 삼성 반도체 공장 유치에 적극적이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칩스(CHIPS)법 시행 기다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칩스법은 미국의 반도체칩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반도체 제조 인센티브와 연구비 등을 지원하는 내용의 법으로 지난달 미 상원의원을 통과했고, 하원 논의를 앞두고 있다.

칩스법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 설립을 위한 연방 보조금 100억 달러와 최대 40%의 세액 공제 등 강력한 지원책을 포함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이 법의 혜택을 받게 되면 재산세 감면을 포함해 10억 달러 이상의 인센티브 패키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용 부회장의 부재도 걸림돌이다. 20조 원 투자는 해외 단일 투자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꼽히는데 최고 의사 결정권자인 이 부회장의 부재 속에서 속도를 내기 쉽지 않고,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 부회장이 광복절에 가석방이나 사면으로 풀려나면 공장 설립 후보지를 직접 방문하고 최종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이사회라는 의사기구 있어도 책임감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은 결국 총수”라며 “반도체는 ‘경박단소’ 산업으로 가볍고 얇고 짧고 작은 특성을 갖추면서도 투자 규모가 크고 속도와 기술 적용 난도가 높다. 이 특성을 다 고려해 투자를 결정하기 위해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도 미국 실리콘밸리에 10억 달러 규모의 연구ㆍ개발(R&D) 센터 설립을 발표한 뒤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내지 않았다. 인공지능(AI)과 낸드솔루션 등을 아우르는 R&D센터는 SK그룹내 통신, IT, 반도체 계열사 등도 참여할 것으로 보여 진행에 좀 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바이오 업체도 아직 이렇다 할 투자를 검토하지는 않고 있다. 다만,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만큼 이번 정부의 움직임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는 어떤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진 모르겠지만, 아직 실무 차원에서는 구체적인 투자 내용은 없다”라면서도 "여러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생산설비 등 투자를 위한 검토를 내부적으로는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