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반도체 패권 갈등 속 멈춰선 매그나칩 매각…향방은?

입력 2021-07-14 10:51수정 2021-07-14 18: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매각 주주총회 무기한 연기…새 인수자도 별도 제안 없어

매그나칩반도체의 매각 절차가 미국 규제 당국 개입 이후 한 달째 별다른 진전 없이 멈춰 서며 거래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한미 규제당국이 기술 유출 가능성과 거래 타당성을 검토하기로 결정한 반면, 중국은 매각을 승인하면서 반도체 패권을 둘러싼 미·중의 입장차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매그나칩 매각을 타진 중인 중국계 사모펀드가 과거 인수한 회사의 최근 행보도 매각 심사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14일 이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달 15일(현지 시간) 열릴 예정이었던 매각 관련 특별 주주총회는 현재 기약 없이 연기된 상태다.

3월 중국계 사모펀드 와이즈로드캐피탈과의 매각 거래를 발표할 당시, 회사 측은 하반기 내 거래를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하반기에 접어들 때까지 인수 주체는 물론, 계약 성사 여부조차 불투명해졌다.

주주총회 연기는 글로벌 사모펀드 코누코피아 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Cornucopia Investment Partnersㆍ이하 코누코피아)가 새로운 인수 제안을 한 데 따른 것이었다. 당시 업계에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다수 전례에 비춰 한두 달가량 날짜가 밀릴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와 거의 비슷한 시기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가 매각과 관련한 모든 절차 진행을 중단하라는 내용의 ‘중간 명령’을 내리며 상황이 급변했다.

CFIUS는 외국 자본의 미국 기업 투자가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는 기관이다. 2015년 중국 '반도체 굴기'의 상징이었던 칭화유니(紫光集團) 그룹의 미국 기업 인수를 막아선 전적도 있다.

▲매그나칩반도체가 만드는 OLED DDI 제품 (사진출처=매그나칩반도체 공식 블로그)

여기에 산업통상자원부도 기술 유출 우려를 의식해 매그나칩의 주력 사업인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 기술을 국가핵심기술 영역 안에 추가했다.

반면 중국 규제 당국인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지난달 21일 매각에 반독점금지법 위반 문제가 없다며 거래를 승인했다. 미국과 중국이 매각에 대해 확연한 견해차를 보여주면서, 업계에선 이번 M&A가 글로벌 반도체 패권 전쟁의 한복판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달 7일 "CFIUS가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중 정책 일환으로 더욱 강조되고 있다"는 내용을 보도하며 매그나칩 건을 예시로 들었다. 전직 CFIUS 회원의 말을 인용해 "바이든 정부가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막으려는 과정에서 CFIUS의 영역을 동맹국까지 '다자화'(multilateralizing)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인수 제안을 내민 코누코피아 측에서도 특별한 움직임이 없다. 회사 측에 따르면 코누코피아는 이달 9일까지 매그나칩 측에 별도의 추가 제안이나 거래를 위한 접촉을 하지 않았다.

한편 매그나칩 매각을 타진 중인 와이즈로드가 인수한 회사의 최근 행보를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표적인 곳이 와이즈로드가 2016년 3조2000억 원에 인수한 네덜란드 NXP의 스탠더드 제품 사업(현 넥스페리아)이다. 와이즈로드는 2019년 넥스페리아를 중국 스마트폰 위탁 제조사 윙텍에 재매각했다.

첫 매각 이후 5년이 지난 현재 넥스페리아는 영국 최대 반도체 제조업체인 뉴포트웨이퍼팹(NWF)을 인수하려고 시도 중이다. 영국을 비롯한 반도체 업계에선 넥스페리아가 중국 공산당 정권의 강력한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헐값에 반도체 기업을 넘기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해당 사모펀드가 직접 개입된 사례는 아니지만, 반도체 기업이 사모펀드 매각으로 시작해 중국계 자본으로 완전히 넘어갈 수 있다는 선례로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