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두고 기업 간 ‘동상이몽(同牀異夢)’도 지적...기업 협력해야
한국신용평가는 8일 ‘2021 제15차 KIS Podcast’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수소경제 현황과 정유업계 에너지 전환을 다루는 발표가 진행됐다.
이날 발표를 맡은 김호섭 한국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연구위원은 ‘수소경제, 주요 그룹사별 추진 현황 및 신용 관점 함의’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김호섭 한국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연구위원은 이날 발표에서 국내외 수소경제가 개화할 시기를 2030년경으로 예상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국내 로드맵에 따르면 2025년까지 법과 제도 기반이 정비된 뒤 2030년 이후에는 수소가 대량 생산ㆍ소비될 것”이라면서 “초기에는 수소차와 연료전지 중심으로 성장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선박, 철도 등 기타 모빌리티 시장과 철강, 화학 등 타 산업에서도 활용도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한국의 수소경제는 수소 활용분야에서 시장 지위가 우수하지만, 수소 생산이나 도입 방안은 구체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 이유로는 한국은 지형ㆍ지리적 여건이 불리해 재생에너지 기반이 취약해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여건이 불리한 상황에 놓여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정부 탄소 중립 시나리오상에도 2050년 해외 수입 수소 비중이 약 80%에 달할 만큼 한국은 중장기적으로 수소 수입국이 될 전망이다.
이에 김 연구위원은 안정적인 수소 수입 공급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유연한 수소 생산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봤다.
일본이 수소 수입에 대한 발 빠른 대처를 통해 호주 갈탄 개질 블루수소 수입 프로젝트를 상당 부분 진척시킨 데 반해 한국은 지난해 6월에서야 그린 수소 해외사업단이 출범해 ‘수소융합얼라이언스’ 국책과제 연구 검증 단계가 진행 중이다.
한편 수소 사업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중장기 사업인 만큼 기업들이 높은 투자 위험성을 짊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초기 시장 성장을 위해 정부가 촉진제 역할을 할 것을 당부했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는 에너지 전환 비용을 분담하고 정책적 지원을 하는 등의 역할이 필요하다”라면서 “로드맵을 구축하고 실행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를 세우는 것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기업들이 수소 경제를 두고 ‘동상이몽(同牀異夢)’을 그리고 있다며 투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협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연구위원은 “기업 간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투자 위험성을 완화할 수 있다”라면서 “이를 통해 사업 영역까지 확장할 기회를 얻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