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재개발·재건축 매물품귀 여전…초양극화”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11월 첫째 주(1일 기준) 0.15% 올라 전주(0.16%) 대비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8월 넷째 주 0.22%까지 치솟은 뒤 서서히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최근 집값 상승이 가팔랐던 '노도강'(노원ㆍ도봉ㆍ강북구) 등 중저가 아파트가 비교적 많은 지역에서 상승폭 축소가 두드러졌다.
노원구는 8월 넷째 주 상승률이 0.39%에 달했지만 지난달 들어 0.1%대까지 주저앉았다. 같은 기간 도봉구(0.29%→0.09%)와 강북구(0.14%→0.07%)는 0.1% 밑으로까지 떨어졌다. 반면 강남3구는 8월부터 0.2%대 상승률을 이어가며 강한 뒷심을 발휘하고 있다.
노도강 일대에선 호가를 낮춘 급매물도 늘고 있다. 현지 공인중개업소들에 따르면 도봉구 창동 주공19단지 전용면적 44㎡형의 경우 즉시 입주 가능한 매물이 10억3000만 원 선에 나오고 있다. 이는 지난달 11일 최고 거래가(10억7500만 원) 대비 4500만 원 낮은 수준이다.
금융권의 대출 규제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노원구 상계동 한 공인중개사는 “강북권의 경우 중저가 주택이 많아 대출을 묶으면 타격이 큰 지역”이라며 “매수세가 따라붙지 않다보니 호가를 낮춘 매물도 팔리지 않는다”고 전했다.
강남3구는 이미 주택담보대출이 안 되는 15억 원 초과 아파트가 대부분인 만큼 여전히 강세를 띠고 있다.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전용면적 114㎡형은 지난달 9일 41억 원에 역대 최고가로 거래됐다. 넉 달 전보다 6억3000만 원 올랐다. 서초구 잠원동 ‘아크로리버뷰 신반포’ 전용 78㎡형도 지난달 19일 37억5000만 원에 팔리면서 신고가를 경신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향후 강남권과 비(非)강남권 집값 차이가 더 벌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자산가들이 투자나 자녀 증여 목적으로 매입하려는 강남ㆍ용산 등 주요 재개발ㆍ재건축 단지는 매물 품귀 현상이 심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