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대 수출 주력 기업 대상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영향 조사'
최근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며 우리 수출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제품 가격에 반영되면 국민 모두에게 부담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영향 조사'를 진행한 결과 기업들의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은 지난해보다 평균 18.6%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업종별 원자재 구매 가격 증가율은 △철강 29.8% △석유화학ㆍ제품 26.3% △일반기계ㆍ선박 19.5% △전기전자 12.5% △바이오·헬스 11.6% △자동차ㆍ부품 10.5% 등 순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 경영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에 응답 기업의 83.0%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반면, 12.0%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 경영 환경에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고, 5%만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전년 대비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이 상승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영업이익의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원자재 구매 가격이 상승한 기업 중 83.5%는 영업이익이 하락했다고 응답했다. 평균 영업이익 변동률은 △5.9%다.
업종별 영업이익 변동률은 △일반기계ㆍ선박이 -8.8%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그 뒤로 △석유화학ㆍ제품 -7.1% △바이오·헬스 -6.0% △철강 -5.7% △자동차ㆍ부품 -5.2% △전기·전자 -1.8% 등 순이다.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이 상승한 기업들의 과반(65.2%)은 제품가격 인상(34.1%)과 원자재 외 원가절감(31.1%)을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밖에 △원자재 선 구매 및 확보 15.9% △대체 원자재 발굴 12.2% △옵션 등 파생상품 활용 1.1% △공장 가동 중단 0.4% 등도 있다.
제품가격을 높여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다고 답한 기업의 제품가격 평균 인상률은 13.8%였다. 업종별 제품가격 인상률은 △석유화학ㆍ제품 19.6% △철강 18.4% △일반기계ㆍ선박 12.5% △자동차‧부품 10.4% △바이오헬스 7.5% △전기전자 6.9% 순이다.
원자재 가격 전망에 대해 기업의 76.1%가 상승세가 6개월 이상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구체적으로 보면 △1개월 이내 0.4% △3개월 이내 3.3% △6개월 이내 20.2% △1년 이내 45.8% △3년 이내 24.2% △3년 이상 6.1% 등이다.
기업들의 매출 원가 중 원자재 구매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1.0%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ㆍ제품 53.3% △철강 46.7% △전기·전자 37.0% △바이오·헬스 36.2% △일반 기계ㆍ선박 34.4% △자동차ㆍ부품 33.7% 등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이 구매하는 전체 원자재 중 수입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1.7%로 나타났다. 업종별 비중은 △석유화학ㆍ제품 47.9% △바이오·헬스 46.2% △전기·전자 45.0% △일반기계ㆍ선박 38.5% △자동차ㆍ부품 38.3% △철강 27.5% 등이다.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 해외자원개발 지원 등 안정적 원자재 수급처 확보(44.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원자재 수입 관세 인하(37.9%) △폐자원 재활용 지원을 통한 원자재 확보(9.9%) △정부의 원자재 비축물량 방출(8.2%) 등도 있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자원 빈국인 한국은 원자재의 수입 비중이 높아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취약하다"며 "단기적으로는 원자재 수입 관세를 인하하여 생산자 물가 안정화 및 소비자 물가로의 전이를 막고, 장기적으로는 해외자원개발 지원 등을 통하여 안정적인 원자재 수급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