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주식에 투자한 개미(개인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유동성 축소 신호가 나오는 데다 이자 등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투자)’을 감행한 탓에 빚 상환 위험도 커질 전망이다. 최근 증시 조정으로 원금 보존까지 불확실해져 가계 위험을 키우는 또 다른 뇌관이 될지 모른다는 지적이다.
2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23조7272억 원에 달했다. 유가증권시장이 12조7300억 원, 코스닥시장은 10조9971억 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 규모였던 지난 9월 13일(25조6540억 원)보다는 적지만 여전히 큰 규모다.
신용거래융자는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투자한 금액을 의미한다. 빚투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다.
빚을 내 투자를 늘렸지만 개인투자자들의 성적표는 신통치 않다. 뜨거웠던 증시는 금리 급등에 대한 우려로 조정국면에 놓여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개월간 코스피지수는 5.14% 하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는 5.66% 오르는 데 그쳤다.
개인투자자들은 6개월 동안 시가총액 상위 종목을 많이 담았다. 삼성전자(11조6199억 원) 카카오(1조5240억 원) 현대차(8301억 원) 엔씨소프트(8217억 원) 포스코(8088억 원) 등이다. 이들 종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재확산 공포와 공급망 차질, 실적 정체 여파로 하락하면서 연초 대비 큰 조정을 받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금리마저 오르면 개인투자자들은 ‘엎친 데 덮친 격’의 위기를 맞게 된다. 금리 인상은 위험자산인 주식에 부정적이다. 안전자산인 채권을 사도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많아져 굳이 위험을 감수하며 주식을 살 필요가 없어진다.
여기에 물가 상승, 미국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달러화 강세(원·달러 환율 상승)로 인한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우려 등도 증시 반등을 어렵게 하는 이유로 분석된다.
금리 인상이 가시화하면서 ‘금리 인상→안전자산 선호→증시 위축→투자심리 악화→개인투자자들의 손실’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반복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주식투자로 입은 손실을 메우기 쉽지 않은 여건이다.
한국은행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전체회의를 연다. 금융투자협회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100명 중 90명이 금리 인상(0.75%→1.00%)을 예상했다. 오랫동안 이어진 저금리 기조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에 접어드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대출을 상환하고 그 어느 때보다 ‘균형’을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개인투자자는 코로나 19 사태 후로 투기적인 투자 행태를 보여왔다”며 “금리 인상기엔 자금 조달 비용이 오르고, 차입 제약은 강해지게 되는 만큼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화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도 “가계는 자산 투자에 있어 충분한 경계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주요 국가의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로 돌아선 만큼 자산은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