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구 번동ㆍ중랑구 면목동 '모아주택' 시범사업 시작
“우리나라가 1인당 국민소득이 4만 달러에 육박하는데 2020년대 다가구ㆍ다세대 주택은 국민소득 4000달러 시대에 지어진 집들이 대부분이다. 모아타운으로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에 걸맞은 쾌적한 주거 환경 단지로 거듭날 것이다”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시가 신축ㆍ구축 건물이 섞여 있어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를 모아 개발하는 새로운 정비모델 ‘모아주택’을 도입한다.
오세훈 시장은 13일 모아타운 시범사업지인 강북구 번동에서 “초소형 다가구, 다세대 주택이 밀집한 지역은 주차공간이 부족한데 3~4개 정도의 필지를 모아 건물을 허물고 지하에 주차 공간을 만들면 주차 공간도 해결되고 주거 환경도 개선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나온 게 모아주택”이라며 “모아주택을 통해 2026년까지 총 3만 호 양질의 신축 주택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시내 저층 주거지 면적은 131㎢로 전체 주거지의 41.8%를 차지하지만, 이중 약 87%가 노후도 등 재개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마땅한 정비방안 없이 방치돼 있다. 이런 지역들은 좁은 골목에 다세대ㆍ다가구 주택이 밀집돼 있어 주차난이 심각하고 불법 주정차로 차량 진ㆍ출입이 어려워 화재 등에도 취약하다. 녹지율도 3.4%로 낮다.
모아주택은 이웃한 다가구ㆍ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 단위로 양질의 주택을 공동 개발하는 정비모델이다. 대지면적 1500㎡ 이상을 확보하면 추진할 수 있다. 공공기여와 국ㆍ시비 지원 등을 활용해 지하주차장, 어린이집, 도서관 같은 기반시설도 확충할 수 있다.
시는 블록 단위의 모아주택이 집단으로 추진되는 10만㎡ 이내의 지역을 한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대단지 아파트처럼 관리하고 다양한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모아타운’ 개념도 도입한다.
오 시장은 “모아주택을 한 그룹으로 묶은 모아타운을 만들어 수백 개의 가구를 허물고 새로 짓고, 지하 공간을 함께 공유하는 주차공간까지 만든다면 주차공간도 확보할 수 있고, 녹지 면적도 20~30% 이상 늘려 주거 환경도 쾌적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집단으로 추진되는 △강북구 번동(5만㎡) △중랑구 면목동(9.7만㎡) 2개소를 ‘모아타운’ 시범사업지로 선정했다. 올해 안에 사업 계획을 확정하고, 내년부터 이주를 시작해 2025년까지 2404호 입주를 목표로 사업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오 시장이 찾은 강북구 번동 가로주택정비사업 구역 내 주택 골목은 도로 너비가 6m에 불과해 골목 내 주차 시 다른 차량의 진입이 어려웠고, 지어진 지 30년 이상 된 주택들이 즐비했다.
오 시장은 “실제 둘러보니 가장 열악한 부분은 (골목에) 차도 못 들어가는 것이다. 이 사업의 가장 큰 목적은 주차장 확보다. 지하를 통째로 통합해 공동의 주차장으로 쓴다면 소규모 재건축, 재개발과 차이가 있을 것”이라며 “이런 새로운 정비모델 도입을 통해 주택 공급을 원활히 해 젊은 층이 외곽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아주택 사업의 장점은 원주민의 재정착률이 여타 재개발ㆍ재건축 사업보다 높은 점이다. 기존 재개발ㆍ재건축 사업의 원주민 재정착률은 20~30%에 불과했지만 모아주택의 경우 50~70%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모아타운은 원주민 재정착률이 50~70%까지 늘어난다. 노후도 50% 이상인 지역에서 새집을 갖고자 하는 사람들이 모여 신청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원주민 재정착률이 높을 것”이라며 “한 구역당 동의율이 거의 90%에 육박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올해부터 매년 자치구 공모와 주민 제안을 통해 20개소씩 5년간 모아타운 총 100개소를 지정할 계획이다. 올해는 24일부터 3월 2일까지 자치구를 통해 후보지를 신청받아 시 선정위원회 평가를 거쳐 3월 중 선정한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공공시설‧기반시설 조성비 개소당 최대 375억 원 국‧시비 지원 △2종(7층) 이하 지역 층수 최고 15층 완화 △용도지역 상향 △주차장 통합설치 지원 △공공건축가 설계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