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 실업률, 3개월째 사상 최고치 경신
시진핑 목표 ‘빈부격차 시정’ 벽에 부딪혀
16~24세 실업률 18.4%로 사상 최악 기록 행진
전통적으로 대도시보다 중소도시 실업율이 높았던 중국의 고용 구조는 2020년 중반 역전됐다. 대도시에서 비중이 큰 서비스업이 감염 완전 봉쇄를 노리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균열은 이주 노동자나 젊은 층에 주로 영향을 미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목표로 하는 빈부격차 시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요인이 되고 있다.
올해 5월 중국 도시 지역 전체 실업률은 5.9%로 역대 두 번째로 높았던 4월과 비교해 0.2%포인트 떨어졌다. 이에 상하이시 봉쇄로 급격히 둔화했던 경기가 회복해 “최악의 시기가 지나갔다”는 낙관론이 퍼졌다.
그러나 대도시에 국한하면 여전히 전혀 다른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 직할시와 각 성의 성도 등 31개 대도시 실업률은 5월에 전월보다 0.2%포인트 높은 6.9%로 오히려 3개월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5월 대도시 실업률 악화는 상하이 봉쇄에 더해 베이징과 톈진 등 다른 대도시에서도 코로나19 이동 제한 조치가 엄격히 펼쳐졌기 때문이다. 일자리가 풍부한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실업률이 낮다는 구도가 코로나19로 인해 깨진 것이다.
투자은행인 중국국제금융공사(CICC)의 펑원성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대인접촉형 서비스업이 감염 확대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말했다. 엄격한 방역 정책으로 외식과 오락, 숙박 업종 등의 수요가 사라졌다. 근무처가 갑자기 영업정지에 몰려 종업원이 직장을 잃게 된 사례도 많다.
역내 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3차 산업(서비스업) 비중은 베이징이 약 80%, 상하이와 광둥성 광저우, 저장성 항저우, 쓰촨성 청두가 각각 70% 안팎에 이른다. 이는 약 50%인 중국 평균보다 높은 것이다.
대도시에서 눈에 띄는 ‘제로 코로나 실업’은 특히 젊은이들과 ‘농민공’으로 불리는 이주 노동자들에게 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6~24세 실업률을 보면 5월은 18.4%로 4월보다 0.2%포인트 올라 31개 대도시 실업률과 마찬가지로 사상 최고치 기록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5월 도시 지역 이주 노동자 실업률은 6.6%로 역내 근로자보다 1.1%포인트 높았다. 지난해 농민공의 51%가 서비스업에 종사했다.
제로 코로나 규제로 수익이 악화한 서비스업 기업들이 신규 채용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청년 실업난이 더 악화할 전망이다. 취업사이트 즈롄자오핀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6월 대학 졸업생 취업 내정률은 4월 중순 시점에 47%로 전년 동기 대비 16%포인트 낮았다.
닛케이는 “시진핑 지도부가 지난해 여름부터 분배를 중시하는 ‘공동부유’ 노선을 강조해왔다”며 “그러나 지도부가 철저히 견지하는 제로 코로나 정책이 젊은이들의 실업을 늘려 빈부격차를 확대하는 모순적 상황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