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자이언트스텝 이어가면…국내 GDP 0.7% ↓ 환율 16%↑

입력 2022-07-08 16: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한국금융연구원)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경우 우리나라 GDP가 0.7% 하락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환율의 경우 최대 약 16% 상승할 수 있다.

8일 한국금융연구원 김현태 연구위원은 '미국 통화긴축 가속화의 영향과 시사점'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CME의 Fed Watch에 따르면 시장참가자들은 연준이 연말까지 추가로 기준금리를 200bp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반영한 모형의 충격반응함수 분석 결과에 따르면 3분기에 걸쳐 총 350bp 금리인상 충격을 가했을 때 충격반응함수를 도출, 국내 GDP가 0.7% 하락하고 환율이 16% 상승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시장참가자의 예상보다 가파른 금리인상(총 450bp)이 이뤄지는 경우 GDP는 첫해 약 0.8% 하락하고, 환율은 최대 약 19%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우리나라 위험 프리미엄(CDS 프리미엄)과 GDP 간 관계에 대해 밝히기도 했다. 우리나라 CDS 프리미엄이 약 20bps 상승하는 경우 GDP에는 0.1% 미만의 미미한 영향을 미치며, 환율은 최대 약 0.5% 상승할 수 있다고 봤다.

경제 주체들의 시장 불안이 장기화되면 안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경제 주체들의 시장 불안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는 경우(위험 프리미엄 충격의 지속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우리나라 GDP는 첫해 연간 약 1.2% 하락하고, 환율은 최대 약 24%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 또한 나왔다.

이날 토론에 참여한 송치영 국민대 교수는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자금이 상승하고 생활 수준을 낮추는, 상당히 나쁜 것이라 생각한다"라며 "이럴 경우 인플레이션이 정치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실제 IMF 자료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은 1990년대 초반, 2000년대 초반 이후 4% 이상의 인플레이션을 3년 이상 지속한 국가가 없다"라며 "그만큼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에 매우 강력하게 대응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준금리 인상을 대표로 하는 통화정책이 모든 경제 문제의 대안이 될 수 없다고 꼬집기도 했다.

송 교수는 "사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이란)브레이크를 잡고 있는데 중앙정부는 (재정지원이란)엑셀을 같이 잡고 있다"라며 "차가 서야 하는데 브레이크와 액셀을 동시에 밟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가지 정책의 혼란이 이어지면서 인플레이션 억제하는 정책이 그렇게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라며 "자동차가 멈추긴 하겠지만 제동거리가 상당히 커질 가능성이 있다"라고 우려했다.

김현태 연구위원 또한 "중앙은행의 입장에서 경기 둔화를 어느 정도로 감수하고 긴축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확한 추정이 있어야 한다"라고 답했다.

이어 "모든 것을 중앙은행 정책으로만 해결하긴 어렵다고 생각한다"라며 "(원유 가격이나 원자재 가격을 방어하기 위해) OPEC 등에 원유 생산 요청을 한다든지 정치적으로 풀어가야할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