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수가 ‘하우스 푸어’(House Poor·내 집 빈곤층) 위기감이 고조됐던 2012년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하우스푸어는 주택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출에 따른 과다한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생활고를 겪는 가구를 말한다.
1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생애 처음으로 집합건물(아파트, 연립·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등)을 구매한 매수인은 16만8713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2012년(16만1744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은 수치다.
2012년은 하우스푸어 위기가 한창 고조됐던 시기다. 당시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연 5∼6%대로 치솟으며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부담이 커졌었다. 금융당국은 2013년 하우스푸어 구제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상반기 기준 생애 최초 집합건물 매수인은 집값이 급등했던 지난해(28만4815명)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는 작년보다 40% 이상 감소했다. 월별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인 수도 1월(3만521명) 이후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이면서 지난달(2만6356명)에는 올해 최소치를 기록했다.
생애 최초 집합 건물 매수인 수가 1년 만에 급감한 이유는 대출규제와 금리 인상, 집값 고점 인식 등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은행은 13일 기준금리를 1.75%에서 2.25%로 0.50%포인트(p)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과 ‘빚투’(빚내서 투자)로 대출을 상한선까지 받아 내 집을 마련한 2030 세대의 고통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2년 하우스푸어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현재 평균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월 말 기준 연 3.90%, 신규 주담대 금리가 연 4.7~4.8%인데 한국은행의 빅스텝으로 하반기에 금리가 더 오르면 연 5%를 곧 넘을 것”이라며 “주택담보대출을 갚는데 소득을 지출하면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고, 이는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심각한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