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대비 40% 급감
러시아·스리랑카·이집트는 투자 ‘제로’
자국 불안한 경제에 대외 투자 위축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상하이 푸단대 녹색금융·개발센터를 인용해 중국의 일대일로 투자가 올해 상반기 284억 달러(약 37조 원)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94억 달러에서 감소한 것으로, 2019년과 비교하면 40%나 감소한 수치다.
국가별로는 스리랑카와 러시아, 이집트에 대한 신규 투자가 올해 들어 전혀 없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투자의 주요 수혜국이었던 사우디아라비아도 상반기 중국으로부터 석탄 프로젝트 투자를 받지 않았다.
특히 중국은 러시아에 대해선 철저히 실속만 챙기는 모습이다. 반기 기준 중국의 대러 투자가 없던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만 해도 20억 달러가 러시아에 투입됐지만, 현재는 서방의 대러 제재를 우려해 아예 투자를 하지 않는 모습이다. 대신 러시아산 원유를 싼 가격에 구매하며 이득만 챙기고 있다.
문제는 중국조차 치솟는 인플레이션과 부동산 시장 문제 등으로 어려워지면서 이들 개도국에 대한 구제금융을 주저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이 여전히 시행 중이고, 이로 인해 경제 성장 전망이 어두운 상황이다. 여기에 헝다발 부동산 시장 침체 문제도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 때문에 파산했거나 파산 위기인 주변국에 손 내밀기를 망설이고 있다.
실제로 중국은 파키스탄이 3월 말 상환한 40억 달러 상당의 대출을 재융자하겠다던 약속을 철회했고, 25억 달러 상당의 추가 대출과 관련한 스리랑카의 요청은 응답하지 않는 등 대외 투자에 신중 모드로 돌아섰다.
라자랏남 국제학연구소(RSIS)의 라파엘로 판투치 선임 연구원은 “중국은 상환 가능성이 상당히 제한된 국가들이 많은 부채를 안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지난 몇 년간 대외 대출을 재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머뭇거리자 국제통화기금(IMF)도 압박하기 시작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이달 초 개도국에 대한 주요 20개국(G20)의 부채 탕감을 촉구하면서 중국을 특별히 거론했다. 그는 “현 부채 문제가 전면적인 위기로 귀결되면 중국은 극심한 손실을 보는 첫 번째 국가가 될 것”이라며 “중국은 여러 채권단 사이에서 상황을 더 잘 조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