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25년] 되살아난 위기의 그림자… 25년 만에 경제악몽 재연되나

입력 2022-10-24 05:50수정 2023-08-23 10: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달러 공습에 외환보유액 급감
정부 "외환위기때와 상황 다르다"
25년전과 단순비교 맞진 않지만
물가 가계부채 등 곳곳서 '경고음'

#1997년 11월 21일 밤 10시. 임창열 신임 경제부총리는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IMF(국제통화기금)에 유동성 조절자금 지원을 요청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불과 20여 일 전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은 튼튼하다"던 정부의 외침이 허무하게 무너진 순간이었다.

#2022년 10월 12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외환위기처럼 나타날 가능성이 크지는 않다"고 말했다. 같은 달 14일 추 부총리는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들의 입을 빌려 다시 한번 “1997년 외환 위기 당시와는 근본적으로 상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25년 만에 한국경제에 '위기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이투데이는 외환위기 25년을 맞아 다시 불거지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 위기설에 대한 진단을 2회에 걸쳐 싣는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경상수지는 30억5000만 달러(약 4조3036억 원) 적자를 기록했고, 원·달러 환율은 1500원 대를 향해 치솟고 있다. 외환보유액도 한 달 만에 196억 달러가 줄었다. 이는 2008년 10월(274억 달러 감소)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데자뷔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도 경상수지는 적자를 기록했고, 원·달러 환율은 1900원까지 치솟았다. 외환보유액도 9월 305억 달러에서 한 달 만에 204억 달러로 100억 달러가 감소했다.

물론 현재의 상황을 25년 전과 단순 비교할 수는 없다. 당장 경상수지만 보더라도 1997년 외환위기가 오기 전, 3년 동안 적자가 이어졌다. 1994년 -47억9400만 달러, 1995년 -102억3000만 달러, 1996년 -244억6100만 달러였다. 환율 변동 폭 역시 당시와 비교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외환보유액 또한 단기외채 비율 등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1997년 당시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286.1%까지 올랐으나, 9월 기준으로 40%대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한국 경제가 25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졌고, 또 복잡해졌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 관계자는 "현재의 상황을 1997년 외환위기 당시와 똑같은 선상에서 놓고 비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1997년 위기로 담금질 된 한국 경제는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를 겪으며 또 한번 체질 개선을 이뤄냈다는 것이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때문에 1997년 당시 외환위기를 몰고 왔던 요인들이 25년 지난 현재,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변이 바이러스처럼 위기 요인은 매번 달라진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위기 상황을 명확하게 가르는 경계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더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1997년 위기가 터지기 직전에도 정부는 물론 시장에서도 위기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했다.

2008년 초대 금융위원장을 지낸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은 "여러 상황을 감안할 때 내년 세계 경제는 더 나빠질 것이며 '아직 최악은 오지 않았다'라고 전망한다"며 "우리도 높은 위기의식과 경각심을 가지고 철저하게 위기관리를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징후는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25년 전과 달리 현재 한국은 건실한 대외지급능력을 갖췄으나 불안한 글로벌 경제 환경과 좀처럼 진정되지 않는 물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계 부채는 또 다른 위기를 몰고 올 것이란 우려를 낳고 있다. 1997년 태국에서 시작된 위기가 아시아 전반으로 번진 것처럼 현재는 일본과 중국이 위험할 것이란 경고도 나온다.

전 이사장은 "시장에 있는 사람들은 엔화의 경우 달러당 150엔을 변곡점으로 보고, 위안화는 7.2위안을 변곡점으로 보는데 그게 깨진 상황"이라며 "우려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레고랜드 사태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자금시장이 경색되면서 기업들도 혼란에 빠졌다. 동시다발적인 악재가 걷잡을 수 없이 터지면서 또 한 번 우리 경제가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경고음이 끊임없이 울려 퍼지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