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안정] 증권사·여전사 유동성리스크 여전, 비상계획·관리감독 강화해야

입력 2022-12-22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동산FP 부실 우려에 대내외 금융시장 불안
증권사는 마진콜, 저축은행은 예금이탈, 여전사는 차환리스크 위협

(이투데이DB)

최근 당국의 안정화조치에도 불구하고 증권사와 여전사, 저축은행 등 비은행금융기관 유동성리스크가 여전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만큼 비상계획을 점검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2022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올 9월말 증권사와 여전사인 카드사, 캐피탈사의 유동성비율은 각각 120.6%와 155.6%, 134.4%를 기록 중이다. 이는 2019년말 각각 133.7%와 220.3%, 169.8% 대비 하락한 것이다. 저축은행도 135.3%로 규제수준(100%) 보다 높지만 분기별로 큰 폭의 등락을 보이고 있는 중이다.

(한국은행)
이는 대내외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불안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레고랜드 디폴트 사태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스(PF) 부실우려가 커진데 따른 것이다. 또한, 증권사는 부동산 PF 채무보증 이행이 확대될 가능성과 최근 원·달러 등 주요국 환율 급등락에 따른 파생결합증권 관련 마진콜(margin call, 추가 증거금 납부요구), 저축은행은 PF대출 부실 우려와 은행 수신경쟁에 따른 거액예금이탈 가능성, 여전사는 단기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여전채 발행 여건 악화와 자금조달구조 단기화로 인한 차환리스크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증권사의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는 9월말 현재 23조9000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파생결합증권 자체헷지 규모도 2021년말 40조4000억원에서 올 9월말 44조4000억원으로 증가했다. AA-등급 3년물 여전채 금리도 작년 평균 1.97%에서 올 1~9월중 4.03%까지 치솟았다.

여전사 자금조달 중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 비중 역시 작년 12.9%에서 올 9월 17.7%로 늘었으며, 여전채 발행액 중 2년 이하 비중 역시 같은기간 31.5%에서 51.3%까지 급증했다. 저축은행의 자기자본대비 PF대출 비중 역시 올 9월말 75.9%로 금융업권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한국은행)
미국 연준(Fed)의 금리인상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비상자금조달계획을 점검하는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유동성 상황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게 한은측 설명이다.

개별기관 역시 충당금 적립규모를 확대 등을 도모하고, 긴급 유동성 확보를 위한 신용공여 약정(크레디트라인·Credit Line) 확대 등 선제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이정욱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비은행쪽은 그간 저금리를 이용해 레버리지 투자를 많이 해왔다. 최근엔 부채쪽인 자금조달 애로도 가중되고 있다. 여기에 자산쪽에선 시장손실이 맞물림에 따라 유동성 문제가 증폭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