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와 기상청은 1일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위기 감시·예측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간담회에는 조익노 탄녹위 포용전환국장, 이미선 기상청 기후과학국장과 대기과학 및 기후위기 적응 전문가들이 참석해 향후의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의 주제발표와 이어진 정책토론에서는 우리나라 기후변화 감시·예측의 정책 방향과 함께 이를 적응대책에 연계하는 방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했다.
최영은 건국대 교수는 극한기후현상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21세기 후반에는 한반도가 아열대화될 가능성이 크고 더 길고 더운 여름과 상대적으로 짧은 겨울에 직면할 것이라며 기후 위험성 평가와 지역별 적응대책 수립을 위해 과학적인 기후정보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예상욱 한양대 교수는 온실가스의 농도 변화로 물ㆍ식량 부족, 해양산성화, 해수면 상승, 생태계 붕괴 등의 기후위기가 초래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탄소중립의 성공은 기후위기 감시 및 예측으로 사회‧경제‧산업 주체를 설득해야 가능하다고 밝혔다.
정휘철 한국환경연구원(KEI) 연구위원은 기후위기에 따라 폭염 주의보 초과 일수가 현재 연평균 6일에서 21세기 말에는 92일까지 늘어날 수 있다며 더 정교한 기후 위험 평가체계를 토대로 한 활용 중심의 정보 생산과 지식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범위, 기후위기 감시예측 데이터 고도화 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기상청은 지난해 3월 시행된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기후위기 감시·예측업무를 총괄·지원하는 기관으로 지정됐으며 관련 정보의 생산 및 활용을 고도화해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표오존의 변화, 아열대화 등 국민 체감형 기후변화 정보를 발굴·분석하고 폭염, 호우 등 극한기후의 미래 발생 빈도·강도 등 예측정보를 연내에 제공한다. 또 과거부터 미래까지 기후변화 추세와 전망을 누구나 쉽게 이해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리 정보 시스템(GIS) 기반의 감시·예측 분석도구도 개발, 올 연말에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가 차원의 기후위기 감시ㆍ예측 추진방안을 마련해 탄녹위에 보고하고 관련 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한다.
주대영 탄녹위 사무차장은 “실효성 있는 기후위기 완화 및 적응 대책을 위해서는 과학적 기후 데이터의 생산과 함께 이를 정책에 정확히 연계시키고 작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후위기 대응의 구심점으로서 관련 부처 간 연계‧협력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