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발톱을 감추고 이미지를 관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진강 중국 외교부 부장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에 전화를 걸어 “진솔하고 건설적인 대화에 감사하다”며 “밀접한 협력관계를 계속 이어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그동안 미국과 전쟁도 불사하겠다던 공격적 태도에서 꼬리를 확 내린 것이다.
이뿐만 아니다. 지난달 정부 인사이동도 중국의 태도 변화를 시사했다. 중국 외교부는 자오리젠 대변인이 국경·해양사무사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고 밝혔다. 2020년 외교부 대변인을 시작한 자오리젠은 거칠고 위협적인 말로 주목을 끌면서 중국의 ‘전랑(늑대전사)외교’를 상징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랑외교는 자국의 이익 수호를 위해 상대국과 대립을 불사하는 시진핑 정부의 공세적 외교방식을 일컫는 말이다. 중국 역대 최다 관객을 동원한 애국주의 영화 <전랑(戰狼)>에서 명칭을 따왔다.
중국의 거친 ‘입’이었던 자오리젠 대변인이 갑자기 자리를 이동한 것을 두고 의외라는 지적이 나왔다. 국경·해양사무사는 중국의 영토·해양 영유권 분쟁을 관할하는 조직으로, 수평이동이기는 하지만 과거 전례에 비춰 흔하지 않은 인사발령이라는 것이다. 통상 대변인은 주요국 대사로 취임하는 경우가 많다.
닛케이는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 배경에 러시아와의 미묘한 관계가 자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공산당 관계자는 “시진핑 중국 지도부에서 러시아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과 유럽과의 긴장 완화를 추진해 균형을 잡으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강 부장 역시 지난달 초 외교부 내부 회의에서 대러 외교 변화를 시사했다. 그는 러시아와 ‘동맹을 맺지 않고, 대립하지도 않고, 제3국에 대항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내놨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작년 2월 이후 시진핑과 푸틴은 정상회담에서 중러 우정에 한계가 없다며 밀월을 과시했다. 불과 1년 만에 분위기가 바뀐 셈이다.
중국 지도부에서 ‘러시아에 이용되고 있다’는 불신이 퍼졌다고 닛케이는 평가했다. 서방 제재로 위기에 봉착한 러시아는 유럽 대신 중국에 자원을 수출해 전비를 마련했다. 중국과의 우호 관계 덕에 유엔에서 고립도 피했다. 반면 중국은 ‘전범국’을 돕는다는 이유로 국제사회에서 이미지가 훼손됐고, 서방과의 관계도 악화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해운 대기업인 중국 원양해운그룹은 러시아산 석유 수송계약을 무산시켰다. 미국과 유럽의 경제제재에 휘말릴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과 러시아는 천연가스를 두고도 상호 경계를 키우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침공 후 첫 해외 방문지로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메니스탄을 선택했는데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한 것이라 분석이 나왔다. 중국 역시 최근 투르크메니스탄를 ‘에너지 전략 파트너’로 격상해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포석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