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KIAT, 불안한 소부장 공급망 안정화 위해 '협력 확대' 나선다

입력 2023-02-23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독일 등 주요국과 소부장 협력 이어나가

▲KIAT는 공동 원천 기술을 다수 보유한 기술강국 독일과도 2020년부터 기술협력 파트너십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 중이다. 사진은 한독 소재부품장비 기술협력센터 내에서 회의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제공=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불안한 국제 공급망 속에서 기업의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주요 소재부품장비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기술 자립과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 또 전략적 국제기술협력을 확대함으로써 기업의 공급망 다변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22일 KIAT는 핵심 소부장 품목 자립화와 고부가가치 유망 품목을 육성하기 위해 올해 750억 원을 들여 전국 공공 연구기관과 5개 소부장 특화단지 등에 테스트베드 장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주로 소재부품의 신뢰성을 평가하거나 품질 평가 시험법 개발에 필요한 장비 마련, 노후 장비 교체에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공공 연구기관에 구축한 연구 장비와 시설은 기업 현장의 기술 애로 해결에 활용한다. 40개 연구기관이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을 구성해 기업 대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기업이 애로를 접수하면 관련 전문가를 연결하고 소재 분석, 부품 성능 평가, 시제품 제작, 공정 설계 개선 등을 지원한다. 2020년 4월 융합혁신지원단이 발족한 후 지금까지 기술 지원 혜택을 받은 기업은 중복 지원을 제외하고 2000곳이 넘는다.

특히 연구기관 간 협업이 가능하므로 기업으로선 복합적인 기술 애로를 의뢰해도 접수를 한 번만 하면 된다. KIAT는 올해 4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해 소부장 기업들의 기술 자립을 도모할 계획이다.

소부장 기업에 관한 기술 지원 서비스는 신뢰성 기반 활용 지원 사업을 통해서도 받을 수 있다. 수요 기업이나 공공 연구기관, 그리고 공급 기업 간의 협업을 확대해 공급망 안정화를 꾀하는 양산성능평가 지원사업도 제공한다.

해당 사업은 일본 수출 규제 직후인 2020년부터 시작했고, 올해 예산은 300억 원이다. KIAT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 등 7개 소부장 분야를 대상으로 100개 내외 과제를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공급망 선도 기술 확보를 위해 여러 국가와 협력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KIAT 관계자는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서는 다변화 전략이 필수"라며 "소부장 강국과의 국제 협업을 통해 핵심 공급망 선점 및 선도 기술 확보도 꾀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 미국 상무부 산하 R&D 담당 기관인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해 과제를 발굴하기로 했다.

공동 원천 기술을 다수 보유한 기술 강국 독일과도 2020년부터 기술협력 파트너십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 중이다. KIAT가 독일 NRW연방주 아헨특구 헤르조겐라스 테크노파크에 만든 한독 소부장 기술협력센터에서는 국내 기업과 협력할 기관을 발굴하고, 공동 연구나 사업화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NRW주에는 100곳이 넘는 대학, 연구센터가 있고 독일 내 스타트업의 20%가 있어 기업 하기 좋은 지역으로 꼽힌다. 현지 센터에 입주해 있는 기업 6개를 포함해 15개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 중이다.

지난해에는 전자부품 검사장비 업체인 고영테크놀로지가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기술제휴를 맺고 반도체 장비 표면검사에 관한 공동 R&D에 돌입했다. 자동차 부품업체 코넥도 금속 가공 관련 첨단 기술을 연구하는 아헨공대와 공동 연구 컨소시엄을 구성해 친환경차에 필요한 하이브리드 주조기술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핵심 광물과 원자재 분야에서도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노력 중이다. 올해부턴 몽골과 우즈베키스탄에 희소금속센터를 설립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2027년까지 몽골에 150억 원, 우즈베키스탄에 97억 원을 지원해 고부가가치 금속 가공에 필요한 기자재와 컨설팅을 제공한다. 희소 금속의 안정적 확보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 중이다.

민병주 KIAT 원장은 "기존의 경직적인 소팀제로는 다양한 이슈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웠다"며 "국내 기업이 저성장과 불확실성이라는 악조건 가운데에서도 산업 대전환을 안정적으로 준비해 나가도록 공급망 안정화 및 경제 안보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