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 돈이 없다"…공공요금·이자 쌍폭탄에 말라가는 지갑

입력 2023-02-23 12:00수정 2023-02-23 16: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공공요금 인상에 연료비 지출 역대 최대↑…양도세 등 비경상조세는 급감

▲공공요금 인상 여파 등으로 소비자가 예상하는 향후 1년의 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다시 4%대로 올라섰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4.0%로 1월 3.9%보다 0.1%p 올랐다. 이는 2개월 연속 상승세로 기대인플레이션이 좀처럼 꺾이지 않으면서 5% 안팎의 고물가 흐름이 예상보다 오래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작년 4분기 가계 총소득이 1년 전보다 4% 넘게 늘었지만, 실질 소득은 고물가의 영향으로 1.1% 줄었다. 물가 상승으로 소비지출이 증가한 가운데, 공공요금 인상으로 연료비 지출은 역대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고금리에 이자 비용도 크게 늘어나면서 가계의 흑자액은 2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했다.

통계청은 23일 발표한 '2022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서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483만4000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464만2000원)보다 19만2000원(4.1%) 늘어났다고 밝혔다. 총소득은 2021년 3분기부터 6개 분기 연속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소득 유형별로 보면 전체 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312만1000원)은 고용 호조 등으로 7.9% 증가해 같은 분기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2021년 2분기부터 7분기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자영업자 등이 벌어들이는 사업소득(101만8000원)은 비용 상승 등으로 전년 수준에 그쳤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이전소득(57만 원) 5.3% 줄었는데, 정부가 지급하는 공적 이전소득이 6.2% 감소했다.

다만,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실질 소득은 1.1% 줄어 지난해 3분기(-2.8%)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최근 고물가를 고려하면, 가계의 실질적인 형편은 1년 전보다 나빠진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국 소비자물가는 5.3% 상승해 동분기 기준으로는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가 있었던 1998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9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5.9% 증가했다. 그러나 실질 기준으로는 0.6% 늘어 4개 분기 연속 0%대 증가율에 머물렀다. 소비지출 증가의 대부분이 물가 상승의 영향이었고, 실질적인 씀씀이는 '제자리걸음'에 그친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의 명목 지출은 1.1% 줄었고, 실질 기준으로는 6.6% 감소했다. 식료품 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가계의 먹거리 소비 자체가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4분기 식료품·비주류음료의 물가는 1년 전 대비 5.9%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5.3%)을 웃돌았다.

여기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야외 활동 증가로 먹거리 소비가 외식 등으로 옮겨간 것으로 풀이된다. 음식·숙박 소비 지출이 14.6% 증가한 가운데, 오락·문화(20.0%)와 의류·신발(14.6%)도 역대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교통 지출은 14.3% 증가했는데, 이 중 항공요금이 포함된 기타운송 지출이 56.5% 급등했다. 최근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항공료 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전기료, 가스비 등 공공요금이 인상되면서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전년 동분기 대비 6.0% 증가했다. 이는 2012년 4분기(7.9%) 이후 동분기 기준으로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특히, 연료비 지출은 16.4% 늘면서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연간 기준 월평균 소비지출(264만 원) 역시 5.8% 증가했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0.7% 증가에 그쳤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음식·숙박(17.5%), 교통(10.2%), 오락·문화(18.4%), 교육(12.2%) 등 대부분의 소비가 증가했다.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세를 고려한 실질소비지출은 식료품‧비주류음료(-7.4%), 가정용품·가사서비스(-13.9%), 주거‧수도‧광열(-3.9%) 등에서 줄었다. 고물가로 인해 가계가 식료품과 공공요금 지출을 줄인 것이다.

작년 4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92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8.1% 증가한 가운데,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이자비용이 28.9% 급등했다. 이는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반면, 양도소득세와 부동산 취·등록세 등 주로 부동산과 관련해 일시적으로 부과되는 세금인 비경상조세는 45.9% 급감했다.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로 거래량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가구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390만5000원으로 3.2% 증가했고,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2.3% 줄어든 120만9000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구당 흑자액은 2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53배를 기록해 1년 전보다 0.18배 포인트(p) 줄었다. 소득분배가 소폭 개선된 것이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원 수별로 나눈 가처분소득을 1분위(하위 20%)와 5분위(상위 20%) 대비로 비교하는 지표로, 배율이 커질수록 분배가 악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1분위 가구에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많이 증가했고, 5분위는 방역지원금 등 효과 소멸로 인해 상대적으로 이전소득이 많이 감소했다"며 "5분위 소득은 줄었고, 1분위 소득은 늘면서 지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저소득가구의 소득이 크게 증가하면서 소득·분배 지표가 개선됐지만, 고물가, 경기둔화 우려 등 어려운 경제여건을 고려할 때 개선세 지속 여부는 불확실하다"며 "정부는 취약계층에 부담이 집중되지 않도록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사회안전망 확충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