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은 1월 7.14→2월 7.45%로 높아져
“기업, 성장 주도하지만 생산량당 고용인원 적어”
숙련 경력직 선호에 젊은이들 일자리 찾기 난관
19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인도 경제가 올해도 고속 성장이 전망되고 있지만, 높은 실업률이 고질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인도 경제 성장률이 6.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제는 성장률만큼이나 실업률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2월 인도 실업률은 7.45%로 전월의 7.14%에서 상승했다.
인도 통계청장 출신인 경제학자 프로나브 센은 “기업이 인도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단위 생산량 당 고용인원이 많지 않다”면서 “이에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데, 기업들은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토로한다”고 지적했다. 즉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기업들이 정작 고용창출에 대해서는 적극적이지 않은 데다, 양질의 일자리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아미트 바솔 아짐프레짐대학 경제학 교수는 “인도의 경제 성장은 금융과 보험,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부동산, 통신, IT 등이 주도하고 있는데, 이들 산업은 고성장 분야가 맞지만, 일자리 창출을 많이 하는 분야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평생 직장’으로 통하는 정부 부처 관련 일자리는 14억 인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FT는 지적했다.
인도가 인구통계학적 이점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 방안을 찾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도는 올해 공식적으로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 대국으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청년층 인구 역시 전 세계에서 가장 두텁다. 이에 더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에 마련했던 공급망을 인도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대표적인 기업이 애플이다. 애플은 급성장하는 인도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탈중국’에 속도를 내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도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 일환으로 전자제품과 첨단 배터리 생산업체 제조시설 유치를 위해 수십억 달러 인센티브를 내걸고 있으며 중국의 노동규정과 유사하게 노동법도 완화했다. 그러나 정작 제조업 고용 창출은 더딘 성장세를 보이는 것이 문제다. .
고질적인 실업 문제가 이어지면서 청년들 사이에 분노와 두려움이 커지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재선을 노리는 모디 총리에게도 실업률 상승은 악재다.
공무원 시험에 떨어진 후 벵갈루루 공항에서 휠체어 승객을 도와주는 회사에서 월급 1만3000루피(약 21만 원)를 받고 일하고 있는 한 청년은 FT에 “젊은이들에게 좋은 곳은 없다” 면서 “돈과 인맥이 있는 사람은 살아남을 수 있지만, 나머지는 계속 일만 하다가 죽을 것”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