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기요금 인상 여부 발표를 앞둔 가운데 철강업계가 노심초사 중이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급격히 인상된 전기요금은 계속해서 고공행진 중이다. 앞서 산업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4월(6.9원)과 7월(5원), 10월(16.6원) 등 세 차례 인상돼 1kWh(킬로와트시 )당 최대 29.5원 상승한 바 있다. 올 1월에도 13.1원이 올랐다.
전기로를 사용하는 철강, 제강사의 부담이 가중된 상황. 24시간 동안 설비를 가동하는 철강업계로선 예의주시하는 상황이다. 전기요금이 kWh마다 1원이 오르면 철강업계의 원가부담은 100억 원에 달한다. 지난 1월 13.1원의 전기요금 인상으로 떠안게 되는 원가부담은 연간 약 2600억 원에 달하며, 올해 산업용 전기료를 최대 51원까지 올릴 때 원가부담은 1조 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마저 나온다.
포스코는 자가발전을 하는 용량 외에 전력구매비로 연간 약 4400억 원을 부담하고 있다. 현대제철 역시 지난해 4분기에만 약 600억 원가량의 전기요금을 추가로 냈다. 현대제철에 따르면, 연간 9000억 원의 전기요금이 소요되며 통상 1조 원 정도 부담하는 실정이다.
문제는 최근 탄소 저감 기조에 따라 전기로 증설을 확대한 철강업계로선 부담이 더욱 가중된다는 점이다. 전기로는 일반 고로처럼 직접적인 탄소 배출이 많지는 않지만, 전기 사용량이 많다. 대략 전기로의 배출 탄소량은 고로의 30% 미만이다.
포스코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6000억 원을 투입, 광양제철소에 전기로를 신설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제철 역시 전기로 중심의 수소 기반 공정 융합형 철강 생산체제 ‘하이큐브’를 구축하겠다는 복안이다.
다만 전기료 상승에 따른 원가율 완화를 위해 제품가격을 인상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철강업계의 주 고객사인 건설과 가전 등 전방산업도 침체의 늪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철강산업은 전방산업에 필수적인 기자재를 공급하는 국가 기간 산업으로, 특수성을 고려해 전기요금 감면, 동결 등 제도로 뒷받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원가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에서 탄소 중립 흐름에 따라 전기요금이 원가에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라며 “철강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