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돌 맞은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올해는 진정한 한은 실력 검증받는 해”

입력 2023-06-12 10:00수정 2023-06-12 11: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는 국가별로 물가오름세와 경기상황 차별화
비은행 감독권 확보 등 발상의 전환 필요
조직문화에선 ‘법고창신(法古創新)’ 실현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한국은행 창립 제73주년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은행)

“쉽지 않은 1년을 보냈지만, 앞으로의 1년도 녹록지 않을 것 같습니다. 특히 한국은행의 진정한 실력을 검증받는 한 해가 될 것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한은 창립 73주년 기념사를 통해 “지난 1년간은 우리를 포함한 대부분의 중앙은행이 높은 물가상승률로 인해 공통으로 빠르게 금리를 인상했고 국민 사이에도 물가안정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지만, 올해는 국가별로 물가오름세와 경기상황이 차별화된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는 물가와 성장 간 상충관계에 따른 정교한 정책대응이 중요해졌으며, 그 과정에서 각국 중앙은행의 능력이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감독권 없는 비은행 부문 방치할 수 없어

한은의 발전적 변화를 위해 이 총재는 무엇보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감독권이 없는 비은행 부문을 방치해서는 금융안정 실현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까지 한국은행의 주된 정책대상은 은행이었다”며 “한국은행법에서 금융기관이란 은행만을 의미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러나 비은행 금융기관의 수신 비중이 이미 2000년대 들어 은행을 넘어섰고 한은 금융망을 통한 결제액 비중도 지속적으로 커져 왔으며, 은행과의 자금거래 확대로 은행ㆍ비은행 간 상호연계성도 증대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처럼 비은행의 중요도와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대됐기에 은행만을 대상으로 해서는 국민경제 전체의 금융안정 목표를 달성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이 총재는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권이 없다는 이유로 이 문제를 방치할 수는 없다”며 “감독기관과의 정책공조를 더욱 강화하고, 필요하다면 제도개선을 통해서라도 금융안정 목표 달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또 다른 예로 유동성 관리 수단의 유효성을 들었다. 기존에는 기조적인 경상수지 흑자로 국외부문으로부터 대규모 유동성이 계속 공급됐기 때문에 한은의 유동성 관리 또한 이를 흡수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춰 운용돼 왔는데, 이제는 달라졌다는 얘기다.

이 총재는 “유동성 조절도 흡수 일변도에서 벗어나 평상시에도 탄력적으로 유동성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도나 운영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최근 실리콘밸리은행 사태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모바일 뱅킹 등 IT기술 발달로 기관 간 자금흐름이 대규모로 신속하게 이뤄지고, 위기 전파 속도도 그만큼 빨라졌다”며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상시적 대출제도 등 위기 감지 시 즉각 활용 가능한 정책 수단의 확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신축 통합별관 외부 (사진공동취재단)

'한은사'에서 '시끄러운 한은' 변신… '법고창신' 실현해야

이 총재는 조직혁신에 대한 목소리도 냈다. 먼저 그는 “지난해 토론문화 확산, 자료공유 확대 등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도 시작했다”며 “여러분의 협조 덕에 ‘한은사’ 이미지에서 탈피해 ‘시끄러운 한은’을 향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운을 띄었다.

그러면서 “우수한 인재여야 한국은행에 들어간다“는 과거의 평판에서 벗어나, 이제는 ”한국은행에서 10년 동안 훈련받은 직원이라면 믿고 스카우트하고 싶다“라는 말이 정착되도록 노력하고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소수에게 권한과 책임이 집중되고 총재만이 한국은행을 대표해 왔던 과거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전행적(全行的)인 정보 공유를 통해 우리 내부의 정보독점화를 막고 모두가 대변인이라는 마음가짐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로서 적극적인 대외 소통에 나설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에 앞장서는 직원이 더욱 대우받을 수 있도록 인사와 성과평가 제도로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또 이 총재는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만들어야 한다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는 말이 있다”며 “젊은 직원의 아이디어와 간부들의 경험이 어우러질 때 법고창신의 교훈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이 총재는 “요즘 젊은 세대들이 업무지시에 대해 ‘왜요?’, ‘제가요?’, ‘지금요?’라고 되묻는 경향이 많다고 들었다”며 다음과 같은 답변을 내놨다. “왜요?-변화가 필요하니까“, ”제가요?-변화의 필요를 가장 잘 느끼는 세대이니까”, “지금요?-지금 변하지 않으면 뒤처지니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