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이 있었던 2011년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데 근거를 둔다. 당시에는 금융위기의 영향권에 있었고, 유럽 신용위기까지 겹쳤다.
다만, 한 목소리로 경계의 소리를 냈다. S&P와 무디스까지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내린다면 글로벌 금융시장이 패닉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다. 외국인은 6월 이후 코스피 시장에서 2조8000억 원 넘게 팔고 있다. 힌국 경제의 펀더멘탈(기초체력)이 아직은 탄탄하지만, 우울한 전망이 많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5%까지 낮췄다.
2일 한국 주식, 원화, 국채가 모두 약세를 보이는 ‘트리플 약세’를 나타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4.70원 급등한 1298.50원에 마감했다. 코스피지수는 2616.47(-1.90%)까지 밀려났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0.030%포인트 상승한 3.677%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0.066%포인트 오른 3.793%, 20년물 금리는 0.052%포인트 상승한 3.724%로 장을 마쳤다.
아시아 주요국 통화도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다. 역외위안·달러 환율은 0.0050위안 오른 7.1825에 거래를 마쳤다.
엔·달러 환율은 안전자산 매력이 부각되면서 이날 오후 4시 42분 기준 전장 대비 0.57원 내린 142.75에 거래되고 있다.
아시아증시도 하락했다. 닛케이225 평균지수(-2.30%), 대만 자취안지수(-1.85%), 호주 S&P/ASX 200 지수(-1.29%),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89%) 일제히 떨어졌고, 홍콩 항셍지수는 약세를 보였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 사례를 고려하면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강등이 우리나라 무역 구조나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입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의 신용등급 하향은 단기적으로 금리 상승재료, 중기적으로는 금리 하락재료이다. 달러가치에 대해서는 통화별 차별화가 단기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연준의 긴축이 막바지에 이르고 있고, 한국의 수출도 최악을 벗어난 만큼 원화는 강세가 예상된다”고 했다.
다만 일각에선 이번 피치 결정이 단기적으로 전 세계 채권과 환율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주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신용등급 하향 조정의 후폭풍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이번 피치 결정이 미국 국채금리의 추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단기적으로 시장의 스트레스가 커질 수 있고 달러와 유로, 엔화 가치 변동성이 단기적으로 확대될 여지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011년의 경험을 생각하면 좀 더 주의 깊게 관망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정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