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 해결하고 자기부상열차 보편화 기술 될 것”
전문가 “데이터 극도로 추정적...결론 내리기 일러”
초전도체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 전기저항이 0에 가까워지는 물질이다. 내부에는 자기장이 들어갈 수 없고 내부에 있던 자기장도 밖으로 밀어내는 성질이 있어서 자석 위에 올리면 공중으로 떠오른다.
한국 퀀텀에너지연구소의 이석배, 김지훈 연구원은 초저온·초고압 조건에서만 구현 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온 초전도체를 상온·상압 조건에서 만들었다며 LK-99와 관련된 논문을 지난달 22일 공개했다. LK-99라는 명칭은 두 사람의 성 이니셜과 해당 물질의 발견 연도(1999)에서 따온 것이다.
LK-99는 최근 며칠 동안 엑스(X·옛 트위터)에서 큰 화제가 됐다. 사람들은 “해당 물질이 기후 변화를 해결하고 자기부상열차를 보편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될 것”이라며 “새로운 기술로 일상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는 물리학의 오랜 성배”라고 칭송했다.
SNS에서의 뜨거운 반응과 달리 초전도와 고체물리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메릴랜드대 응집물질이론센터의 산카르 다스 사르마 박사는 “초전도체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리기는 너무 이르다”면서 “(논문이 제시한) 데이터는 극도로 추정적이며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센터의 X 계정에 올린 논평에서 “한국 과학자들이 LK-99가 초전도체로 전환된다고 밝힌 온도에서 전기저항이 떨어지긴 했지만 0이 되지는 않았다”며 “LK-99의 전기저항은 순동과 다른 좋은 전도성 금속들에 비해 약 100배 높았다”고 설명했다. 또 “흑연을 포함한 비초전도 물질들도 같은 방식으로 부분적인 부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중부양 영상도 확정적이지 않다”고 덧붙였다.
사르마 박사는 “이렇게 거대한 주장은 매우 신중하게 검토돼야 한다”며 “우리가 승리 선언을 하기 전에 독립적인 집단들이 가능한 많은 수단을 동원해 LK-99를 구현해 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고성능 컴퓨터를 활용해 LK-99의 초전도성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시네드 그리핀 미국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 연구원도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그리핀 연구원은 NYT에 “고체물리학 연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대단한 일”이라면서도 “이러한 논의가 올바르게 설명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몇 가지 주의사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LK-99 관련 논문상의 시뮬레이션 결과가 초전도성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 논문에 적시된 전자 구조 관련 계산 결과가 확정적인 것도 아니”라고 덧붙였다.
앞서 그는 엑스에 자신의 논문을 소개하면서 2016년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마이크를 들었다가 일부러 떨어트리는 장면을 올렸다. 이후 사람들이 이를 성배를 찾았다는 확인으로 해석하면서 LK-99 열풍이 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