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시가총액 증감, 산업·기업마다 달라"
상반기 코스피 상장사의 부채 총액이 31조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하는 가운데 부채액이 외려 늘어난 것이다. 다만, 산업·기업별로 부채 증감의 이유와 정도가 다르므로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금융정보업체 Fn가이드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 666곳의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부채총계는 2198조8653억 원이다. 지난해 말 2168조2907억 원 대비 30조5746억 원 증가한 액수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에서도 삼성전자, POSCO홀딩스, NAVER를 제외한 7개 기업이 부채액수를 늘렸다.
올해 고금리 추세가 지속하는데 부채액도 늘어나면서 기업들의 부채 부담이 늘어나는 양상이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이 분기별로 지불하는 이자는 2019년 1분기 5조7000억 원에서 2021년 1분기 4조9000억 원까지 감소한 후 올해 1분기 10조 원까지 증가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산업이나 기업별로 부채 증감 이유와 정도가 다르므로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기업 부채 증가가 신규 투자 과정에서 늘어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3년간 부채를 늘리고 줄인 산업이 달랐고, 산업 안에서도 기업별로 달랐다. 레버리지 현황에 따라 부채 증감과 시가총액 증감에 따라 업종이 성장 중이거나 고점을 지났거나, 산업이 구조조정 중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며 “부채·시가총액 증감에 따라 이차전지 연관 산업은 성장 중이며, 조선·기계 등 산업재는 구조조정이 끝나가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높은 금리 수준이 길어지면 레버리지가 많은 업종보다 적은 업종이 선호될 가능성이 크다”며 “금리가 완연한 내림세로 방향을 바꾸기 전까지는 부채를 줄여놓은 산업과 기업에 선별적으로 투자하는 전략을 권고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