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글로벌 AI 시장 선도 위해 정책 지원 절실”

입력 2023-08-31 15: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7년 시장 규모 500兆 전망
“자체 초거대 AI 생태계 발전
성장동력 기회…논의 서둘러야”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 (사진제공=네이버)

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재 양성, 정부 투자, 규제 등을 포함한 AI거버넌스 체제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미국과 중국이 AI 기술 패권을 두고 각축전을 벌이는 등 AI 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1일 서울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에메랄드룸에서 ‘AI 기술 현황과 국제 규범 동향 세미나’를 개최했다.

초거대 생성 AI는 대용량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해 생산 활동이 가능한 AI를 말한다.

현재까지 공개된 글로벌 기업 초거대 생성형 AI는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LG ‘엑사원’, 미국 오픈 AI ‘GPT3’, 구글 ‘람다’와 중국 화웨이 ‘Pan-Gu’ 등이다.

이광용 네이버 정책전략 이사는 ‘초거대 AI 글로벌 패권 경쟁 속 우리나라의 현주소’라는 주제 발표에서 “초거대 생성 AI는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범용 기술로 앞으로 생성 AI를 모르면 어떤 산업에서든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형 AI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자체 AI 모델이 없으면 관련 기술이 종속될 수 있고, 생성된 자료에 한국의 가치관을 제대로 담아내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한국은 자체 초거대 AI를 보유한 국가 중 하나지만, 구글이 한국 시장 확장을 천명하는 등 위기에 봉착해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세미나에서는 개인정보 문제, 가짜 뉴스 등 AI 부작용에 대한 국제사회의 규제 움직임에도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도 제기됐다.

국제연합(UN)은 최근 통제 필요성을 언급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급 AI 규제 전문 기구 설립 계획을 밝혔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AI 권고안’을 공개했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도 적극적으로 AI를 규제하려는 추세다.

이처럼 AI 활용과 규제를 위한 국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오늘 세미나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AI 규범 논의의 주도권을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김봉만 전경련 본부장은 “육성에 집중하는 미국, 관리를 강조하는 EU 등이 이미 AI 관련 규범 논의를 선도하고 있다”며 “한국도 국제사회 논의에서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