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안전한 서울’ 만들기 위한 방안 모색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둔 가운데 서울시의 재난 안전관리에 있어 인파 사고 대비를 위해서는 ‘예방’ 단계 조치가 한층 더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CCTV 설치 및 모니터링도 중요하지만, 인파 밀집 지역 파악·보도 폭 확보 등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는 조치가 더 강화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26일 서울시는 서울의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점검하고, 더 안전한 서울을 만드는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서울재난안전포럼’을 개최했다.
서울시는 10·29 참사 1주기를 앞두고 폐쇄회로(CC)TV 밀집도 분석을 토대로 지능형 재난 안전시스템 구축이 골자인 ‘서울시 재난 안전시스템 강화 추진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올해 핼러윈부터 시는 CCTV로 홍대입구, 이태원 등 16곳에서 인파 밀집도를 자동 감지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인파 밀집 정도에 따라 자치구, 경찰, 소방과 합동해 안전관리대책을 시행한다.
이날 김혁 서울시 안전총괄관은 “지난해 이태원 참사 이후 사전 위험 징후 발견에도 대처 미흡, 기관별 단독 대응, 경찰에 현장 영상 즉시 공유 불가, CCTV 관제 인력 부족 등 크게 네 가지로 문제점이 분석됐다”라며 “올해는 자동반사적 재난대응력 DNA 체화, 재난 핵심기관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잠들지 않는 재난 AI 네트워크 도입 등으로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서울시의 재난 안전 대책이 1년 전보다 발전했다고 평가하면서도, 인파 사고에 대한 예방조치·심리지원 등 더 강화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봤다.
김영욱 세종대 건축학과 교수는 “태풍이 올 때를 감안해보면 인파 사고와 거의 유사한 측면이 있다”라며 “태풍이 오기 전 경로나 예상 진도, 속도 등을 파악하는 게 ‘예방’ 차원의 조치”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인파 사고는 인파 운집 전 위험구간 및 지점을 평가해 길의 통제 등 동선방식, 보도의 유효 폭 확보, 인력 배치 등의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라며 “서울시는 비교적 예방과 대응 대책을 동시에 수립하고 있으나, CCTV를 통한 경보·재난문자·현장통제는 대응 단계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재난 발생 이후 생존자와 유가족 등에 대한 심리 지원과 관련한 제언도 이어졌다. 이해우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장은 “재난 발생 이후에 시기별 혹은 대상별로 심리적 반응들이 상이하다”라며 “심리 지원을 대상자마다 구조화하고,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10·29 참사 피해자와 유가족 지원과 관련한 내용과 함께 사후 대책도 공유됐다. 시는 참사 당시 희생자 안치병원 및 장례식장에 일대일 전담공무원 530명을 지원한 바 있다.
하영태 서울시 복지정책과장은 “기존 재난 매뉴얼은 전담공무원 파견 및 운영에 대한 세부 내용이 미비했다”라며 “이태원 참사 수습 경험을 토대로 ‘유족 지원 전담공무원 파견 및 운영 매뉴얼을 정비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