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로 계기로 급격하게 늘어
대출 포트폴리오 80%가 재정난 겪는 개도국
최근 신디케이트론으로 전환 가속
“싼 대출서 비싼 대출로 전환 유의해야”
7일(현지시간) CNN방송은 미국 버지니아주 윌리엄앤드매리대 연구소 에이드데이터를 인용해 개도국들이 중국 대출기관에 최소 1조1000억 달러(약 1436조 원)의 빚을 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에이드데이터가 중국으로부터 20년 넘게 자금을 빌린 165개국을 분석한 결과 현재 개도국에 대한 중국의 공식 대출의 55%가 상환 기간에 돌입했다. 게다가 중국 대출 포트폴리오의 약 80%가 재정난을 겪고 있는 개도국 몫으로, 연체된 상환액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드데이터의 브래드 팍스 상무이사는 “대출 상당수는 2013년부터 시작한 일대일로 기간 발행됐다”며 “이들에겐 5~7년의 유예기간이 주어졌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기간엔 2년이 추가로 주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제 이야기가 달라지고 있다”며 “중국은 10여 년간 세계 최대 공식 채권국이었고 이젠 세계 최대 공식 채권 추심국으로서 전환점에 와 있다”고 지적했다.
에이드데이터는 2008년까지만 해도 중국이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는 국가들과는 되도록 마주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당시 중국과 거래하는 국가 중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곳은 10개국이 채 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대일로 사업을 시작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중국은 사업 명목으로 개도국에 막대한 규모의 자금을 빌려줬다. 라틴아메리카에서부터 동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많은 국가가 도로와 공항, 철도, 발전소 등 국가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중국 자금을 활용했다. ‘부채의 함정’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중국과 개도국들의 경제협력은 가속했다. 그 결과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국가 중 중국에 대한 채권을 갚지 못한 곳은 2021년 최소 57개국으로 늘어났다.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개도국들은 높은 금리와 자국 통화 가치 하락, 글로벌 경기둔화 속에 부채를 서둘러 갚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팬데믹을 거치면서 대출 규모와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다. 향후 미상환 문제를 해결하고자 서방 은행이나 다자간 기관들이 참여하는 신디케이트론으로 대출 방식을 전환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현재 개도국에 대한 긴급 대출을 제외한 포트폴리오 절반은 신디케이트론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앞서 중국은 이를 일대일로의 새로운 단계라고 칭했다.
에이드데이터는 “이미 부채가 있고 중국으로부터 긴급 대출을 시도하고 있는 국가들은 저렴한 부채를 더 비싼 부채로 바꾸는 위험에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