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단행될 부사장 이하 임원 인사도 주목
예년보다 일주일 앞서 단행된 삼성전자의 27일 사장단 인사는 대대적인 변화보다는 안정에 무게가 실렸다는 평가다. 글로벌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고, 이재용 회장의 사법리스크도 여전한 상황에서 조직 안정에 우선 순위를 두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애초 재계 일각에선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의 '신경영 선언' 30주년과 이재용 회장 취임 1주년, 그리고 삼성전자의 실적 악화 등을 이유로 대대적인 인사 및 조직 쇄신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과는 달랐다.
미래 먹거리를 발굴할 미래사업기획단을 신설하면서도, 한종희ㆍ경계현 '투톱' 체제를 유지하며 경영 '안정'을 택했다. 대신 그간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과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생활가전사업부장을 겸임해 지나치게 많은 책무를 맡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의 업무에서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떼어 내 부담을 덜었다.
사장 승진 규모도 2명에 그쳤다. 작년에 오너가를 제외한 삼성의 첫 여성 사장인 이영희 글로벌마케팅실장 사장을 비롯해 총 7명이 사장으로 승진한 것과 비교하면 소폭 인사다.
여기에 사상 처음으로 1970년생 사장이 탄생하며 세대 교체를 위한 신호탄을 쐈다. 기존 삼성전자 사장단 중 가장 젊은 사장은 작년에 사장으로 승진한 김우준 네트워크사업부장으로 1968년생이다. 이번에 승진과 함께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에 오른 용석우 사장은 1970년생이다. 용 사장이 김 사장보다 1년 정도 더 빨리 사장에 오른 셈이다.
삼성 주요 계열사 사장단 중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을 제외하고 1970년대 이후 출생은 용 사장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TV 사업의 성장에 기여한 부사장을 승진시켜 사업부장으로 과감히 보임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삼성에 세대 교체 바람이 불지 주목된다. 조만간 있을 부사장 이하 임원 인사에서도 이 같은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관측된다.
작년에는 부사장 59명, 상무 107명, 펠로우 2명, 마스터 19명이 승진했는데, 이 중 30대 상무는 3명, 40대 부사장은 17명이 나왔다. 40대 부사장 승진자 수는 역대 최다 기록이었다.
앞서 삼성전자는 2021년 부사장과 전무 직급을 통합하고 임직원 승진 때 '직급별 체류기간'도 없애 젊고 유능한 임원을 조기 배출할 수 있도록 문을 넓혔다.
재계에도 세대 교체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인사를 단행한 LG그룹에선 LG에너지솔루션에서 권영수 부회장이 용퇴하고 김동명 신임 최고경영자(CEO)가 선임됐다. LG이노텍에서도 문혁수 부사장을 신임 CEO로 선임하는 등 '젊은 피'가 수혈됐다.
재계 관계자는 "1970년대생 사장의 승진은 젊은 인재를 전면 배치하겠다는 의지"라며 "자연스러운 세대교체를 위한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