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고 문자를 사칭한 스미싱(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피싱 사기)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앞으로는 부고 문자를 받아도 누르지 않게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0일 뉴스1에 따르면 최근 서울에서 근무하는 한 경찰관 A 씨는 최근 부고 문자 스미싱에 당했다. 새벽에 날아온 부고 문자 내 링크를 누르자 파일이 다운됐고 이후 휴대전화에 저장된 연락처로 A 씨 명의 부고 스미싱 문자가 날아갔다.
휴대전화를 이른바 ‘좀비폰’으로 감염시켜 다시 대량의 스미싱 문자를 발송하는 방식이다. 감염 이후 지인의 번호로 문자가 오는 탓에 쉽게 당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된다. 개인정보를 유출해 가상 계좌를 개설하거나 휴대전화 소액결제로 돈을 뜯어 가는 일도 있었다.
다행히 A 씨는 휴대전화 내 신분증 사진이나 공인인증서 등이 없어서 추가적인 피해를 당하지 않았다. 대신 문자가 발송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1000여 명의 지인에게 일일이 상황을 설명해야 했다. 몇몇 지인으로부터는 부의금을 받기도 했다.
이 같은 피해는 A 씨만이 아니다. 최근 강원 강릉시에 근무하는 한 경찰관도 부고 스미싱에 당해 동료 경찰관에게 다시 스미싱 문자가 발송되는 사례도 있었다.
경찰 내부망에는 ‘동료 경찰을 사칭한 부고 피싱 문자가 퍼지고 있다’라며 주의를 당부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해당 게시글 작성자는 주변 직원들도 여러 명이 피싱에 당해 문자가 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부고 스미싱 피해는 경찰뿐만 아니라 공직 사회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5일 울산의 한 구청 공무원 B 씨도 부고 스미싱에 당했다. 이후 연락처에 저장된 지인과 공무원 등 약 200명에게 ‘아버지께서 금일 아침에 별세하셨기에 삼가 알려드립니다’라는 내용의 문자가 발송됐다.
경찰청에서 분석한 ‘최근 5년간 스미싱 피해 현황’에 따르면 피해 인원은 2018년 188명에서 2019년 387명, 2020년 1097명, 2021년 1321명, 2022년 807명으로 늘어 5년간 3800여 명에 이른다.
피해 금액은 2018년 2억3500만 원에서 2019년 4억1900만 원, 2020년 11억700만 원, 2021년 49억8500만 원, 2022년 41억300만 원으로 5년 동안 108억여 원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등 정부 기관은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출처 불명확한 인터넷주소, 전화번호 클릭 금지 △개인정보·금융정보 요구 시 알려주거나 입력하지 않기 △출처 불명확한 앱 설치 제한 등을 당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