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韓경제 ‘불의 고리’[2024구조조정의 시간]①

입력 2024-01-14 10:47수정 2024-01-17 07: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썩은 살을 도려내야”...PF, 좀비 등 예견된 위험

‘회색 코뿔소’가 점점 더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눈덩이처럼 불어난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은 건설사와 증권·은행을 동반 위협하고 있고, 해외에선 상업용 부동산 부실 우려가 재차 고개를 들고 있다. 국내 상장기업 10곳 중 4곳은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는 좀비기업으로 전락했다.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 우려와 치솟는 가계 부채 부담은 예견된 악재가 되어가고 있다. ‘위기’라는 이름의 몸집 큰 코뿔소가 오래전부터 멀리서 걸어오는 게 보였지만, 국내 기업들은 달아나지 못했다.

14일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부동산 PF 대출잔액 규모는 130조 원 중반으로, 이 가운데 부실 가능 규모는 최대 70조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전체 PF대출 연체율은 2.4%이나 저축은행과 증권사의 PF대출 연체율은 각각 5.6%, 13.9%에 달한다. 태영건설 사태를 계기로 옥석가리기가 본격화될수록 금융권 내에서는 저축은행과 캐피탈사, 증권사를 필두로 PF 관련 손실인식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국내 금융사들이 대규모로 투자한 해외 상업용 부동산은 또 다른 리스크다. 파산, 은행 압류, 청산 등 부실화된 미국 상업용 부동산 규모는 작년 3분기 기준 797억 달러(약 104조6500억 원)에 이른다. 2013년 이래 10년 만에 최고치다. 국내 대형 은행지주의 경우 그룹 전체 5조 원 내외의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보험사와 증권사는 자기자본 대비 10~20% 수준의 해외부동산 투자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좀비기업이 속출하고 있다. 원자재 가격과 금리 상승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탓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1674개 상장사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710곳으로 파악된다. 특히, 상장 건설사 53곳 중 절반(25곳)이 이자보상배율 1을 밑돌았다.

홍콩 H지수 ELS 이슈는 국내 금융사의 목을 죈다.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잔액은 약 20조 원에 달하며, 이 가운데 10조2000억 원 규모가 올해 상반기에 만기를 앞두고 있다. 국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농협)에서만 10일까지 총 403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의 상품에서도 약 50% 규모의 손실 확정이 나오기 시작했다.

가계부채 문제는 올해 재차 수면위로 부상했다. 작년 9월 말 기준 한국의 가계부채는 1876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90% 수준을 기록했다. 가계 부채 상환 부담은 역대 어느 때 보다도 커졌지만,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은 악화하고 있다. 고금리 환경이 이어지면 금융권 부실 또한 동반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정화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가계부채는 2000년대 초반 카드사태 이후 뚜렷한 디레버리징 과정 없이 증가세가 이어져 왔다”며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주요국에 비해 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실물경제에 비해 증가 속도도 빨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크게 높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