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K제약바이오 ‘진격’ 속도 내려면

입력 2024-01-24 06:00수정 2024-05-06 13: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는 괜찮아지겠죠?”, “힘들어도 할 건 해야하지 않을까요?”, “정부가 조금 더 힘을 실어주면 좋겠는데요”

최근 만났던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들이 2024년을 기대하면 했던 말이다.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신약 개발과 안정적인 의약품 생산과 공급을 위해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대한민국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올해도 ‘성장’, ‘해외시장 진출’. ‘도약’ 등 희망을 이야기한다.

포문은 이달 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글로벌 제약·바이오업계 최대 규모의 투자 행사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열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유한양행, SK바이오팜은 물론 유바이로직스, GC셀, 큐리언트 등이 참가해 신약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 성과를 선보였다.

올해는 역대 최대인 614개 기업이 참가해 3만2000건의 비지니즈 상담이 진행됐다. 참가기업 시가총액만 약 8조2000억 달러에 달하는 최대 행사에서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과 투자자들에게 K제약바이오의 존재감일 각인시켰다는 평가다.

하지만 K제약바이오가 한단 계 도약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코로나19를 겪으며 전 세계 모든 국가가 의약품 개발과 생산, 공급 등 ‘보건안보’ 관점에서 제약바이오산업의 중요성이 각인되서다. 따라서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 미국은 이미 2022년 바이오산업 분야의 자국 내 생산 확대를 지원하는 ‘미국 내 제조(메이드 인 아메리카)’ 내용의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을 내렸다. 특히 미국과 중국간 기술패권 경쟁 영향으로 지난해 5월엔 중국 등 해외 우려국가에 대한 아웃바운드(역외) 투자와 거래활동을 규제하는 ‘국가핵심역량방어법안’이 하원에 제출됐다. 해당 기술은 배터리, 반도테, 양자기술, 인공지능과 함께 의약품이 포함됐다. 즉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이나 중국에 소재를 두고 있다면 적용 대상이다. 지난해 11월에도 백악관은 미국 내에서 더 많은 필수의약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국방물자생산법’을 발표했다.

중국도 지난해 12월 ‘중국 수출 금지 및 제한 기술 목록’을 개정해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술 등을 제한기술로 포함시켰다. 유럽도 예외는 아니다. 유럽집행위원회(EC)는 시품 등에 사용되는 색상 첨가제 ‘이산화티타늄’의 사용 금지를 의약픔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올해 5월 최종 결정을 내린다.

국내 상황도 녹록치 않다. 바이오업계의 신규 투자는 대폭 감소했다. 소위 업계에서는 “돈이 씨가 말랐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벤처캐피털(VC)의 2023년 3분기 누적 바이오 신규 투자금액은 6264억 원으로, 2023년 같은기간 8787억 원 대비 28.7% 줄었다. 특히 제약바이오업계에선 정부의 연구개발(R&D)비 삭감 영향으로 제약바이오분야 인력 충원과 신규 연구에도 힘이 빠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바이오협회가 지난해 말 발표한 3분기 국내 상장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연구개발 현황을 보면 전체 연구개발비는 전체 8128억 원으로 정부보조금은 67억 원 비중은 0.8%에 불과했다. 의약품의 경우 7160억 원 중 정부보조금은 39억 원(비중 0.55%), 의료기기는 968억 원 중 27억 원(비중 2.85%)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 시절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한 컨트롤타워 설치’, ‘백신 주권, 글로벌 허브 구축’, ‘헬스케어 글로벌 중심국가’ 등을 공략으로 내세웠다. 실제 올해 제약바이오혁신위가 본격 가동됐고, K-바이오·백신펀드 약 2600억 원이 조성됐다.

지난해 셀트리온의 1년간 연구개발비가 2335억 원임 점을 감안하면 4년간 바이오·백신 연구개발비 투자를 위한 펀드로 정부가 약 2600억 원을 조성했다는 여전히 K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은 후순위에 있는 듯해 아쉬운 대목이다.

지난 2022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은 매출 규모는 약 23조4657억 원에 달한다. 셀트리온은 물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난해 R&D투자액은 2224억 원이고 종근당, 대웅제약, 유한양행 등 주요 기업들의 연간 R&D 투자금액은 1000억 원을 웃돈다. 지난해 말 종근당과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는 조 단위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고, 유한양행과 GC녹십자는 미국 시장 진출에서 성과를 냈다. “기업이 더 노력해야겠지만, 정부도 더욱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는 업계 관계자의 말처럼 미래 성장동력이자 K제약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해선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