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불확실성발 환율 불안…외국인 이탈자본 유입도 요원
국내 악영향 or 제한적 반사이익
헝다의 파산 가능성이야 이전부터 제기됐던 터라 당장 글로벌 금융 시장에 미칠 여파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 분석이지만, 최근 중국의 경기 침체가 예상보다 심각하다는 전망과 맞물리면서 불안감은 증폭되는 모습이다. 특히 한국경제와 밀접한 중국 리스크는 우리나라의 수출과 경상수지, 환율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국내 외국인 수급의 부담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헝다발 악재가 다시 불거진 29일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차분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22.09포인트(0.89%) 상승한 2500.65에 거래를 마쳤다. 3거래일 연속 상승세다. 일본 닛케이225(+0.77%), 대만 가권(0.69%) 도 상승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0.6원 하락한 1335.70원에 마감했다.
시장 참여자들이 예상하지 못했다가 갑자기 불거진 리먼브러더스 사태와는 다르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증시전문가들도 헝다 사태의 영향이 중국경제에 제한적이고, 중국 금융당국이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최설화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이미 학습효과가 있다”며 “홍콩증시도 상승폭을 좀 축소하긴 했지만 직접적인 영향은 과거에 비해 적었다”고 평가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실장은 “헝다의 청산은 상당히 높은 가능성으로 예상됐었다”며 “이미 시장에 충분히 알려진 악재였기 때문에 그 영향은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다만 헝다 파산이 중국 부동산 시장과 경기 침체를 가속해 아시아 정크본드의 주 발행자였던 여타 중국 기업들의 연쇄 파산으로 이어진다면 상황은 예측하기 힘들어지게 된다.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 등 다른 불씨도 많다. 비구이위안은 헝다보다 회사 규모가 더 크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의 자금줄 역할을 해온 자산운용사 중즈그룹은 올해 초 파산 절차에 들어갔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또 다른 부동산 개발업체가 연쇄적으로 나올 것이냐가 중요하다”며 “헝다 문제가 중국 부채 구조조정의 첫 시발탄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 정부가 부동산 부채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 적잖은 여파가 있을 것이고, 중국 경기 자체가 휘청거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설화 연구위원도 “앞으로 봐야 하는 건 중국 주택교부 문제다”라며 “아직 팔았지만, 완전히 교부 못 한 이슈가 있어 공사가 차질을 빚을 수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제 차질이 생기면 올해 중국 경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으로 경기둔화와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원·달러 환율을 자극할 가능성도 있다. 이형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헝다 청산으로 중국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위안화 절하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며 “일시적으로 원·달러 환율 하락을 제한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부동산발 위기 확대와 중국 경기 둔화에 글로벌 투자자금들은 중국에서 빠르게 빠져나가고 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지난해 말 홍콩 증시연계 거래 제도의 데이터를 토대로 자체 계산한 결과, 지난해 12월까지 최근 4개월간 중국 주식시장에 유입된 외국인 투자금의 90% 가까이가 빠져나갔다.
이들 자금이 국내로 흘러들 가능성은 있는 것일까. 외국인 매수행태만 보면 기대를 하게 한다. 이달 들어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3조4000억 원가량의 주식을 쇼핑했다.
그러나 일본이나 인도로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황세운 실장은 “중국에서 이탈한 자금이 국내보다는 일본으로 갈 가능성이 더 커보인다”며 “국내 증시의 반사이익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수준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 주변 여건도 좋지 않다. 지난해 11∼12월 국내 증시를 과도하게 끌어올렸던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최근 들어 시들해졌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대표적인 ‘매파’(통화 긴축 선호) 인사로 분류되는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16일(현지 시간) “기준금리를 내리기 시작해야 할 시점은 맞지만, 그것은 질서정연하고 신중하게 단행돼야 한다”며 “이번에는 급하게 내릴 이유가 없다”고 말해 시장에 또 한 번 실망감을 안겼다.
국내 대기업의 실적 부진 역시 증시 하방 요인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35% 줄어든 2조800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