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모든 자치구 0.6명대 이하…4분기 자연감소 첫 4만명대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사상 처음으로 0.6명대로 추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해 전국 시군구 10곳 중 3곳은 이미 합계출산율이 0.7명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서울 등 도시 지역의 출산율이 저조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261개 시군구(도 단위 32개구 포함) 중 지난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0.7명보다 낮은 곳은 70개 시군구였다. 전체의 26.8% 정도다.
지난해 전국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통계청은 올해 합계출산율이 0.6명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은 분기 기준 처음 0.6명대로 추락했다.
연간 합계출산율 0.7명선이 붕괴된 70개 시군구는 대부분 대도시였다. 이중 서울이 25곳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 내 모든 자치구에서 합계출산율이 0.7명 아래로 떨어졌다.
이어 부산·경기(12곳). 대구·인천·경남(4곳), 광주·전북(2곳) 순이었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곳은 부산 중구로 0.31명이었다. 해당 지역이 도심 쪽이다 보니 인구 대비 출생아가 많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이어 서울 관악구가 0.38명으로 부상 중구와 마찬가지로 0.3명대였다. 관악구는 대학생, 수험생 등 미혼의 젊은 1인 가구가 밀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음 서울 종로구(0.40명), 서울 광진구(0.45명), 서울 강북구·서울 마포구·대구 서구(0.48명), 서울 도봉·은평구(0.52명) 순으로 합계출산율이 낮았다.
도시 지역일수록 출산율이 낮은 배경에는 청년 세대의 치열한 경쟁, 높은 사교육열, 높은 집값 등이 자리잡고 있다.
한국은행이 작년 12월 초저출산의 원인을 다양한 층위별로 분석한 결과 청년들이 느끼는 높은 경쟁압력과 고용·주거·양육 측면의 불안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면 사회 전반의 경쟁이 낮아지고 장기적으로 저출생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거점 도시를 키울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출생아 규모 자체가 큰 지역은 경기도였다. 젊은 부부가 주택 가격 등을 이유로 서울에서 경기로 이동한 영향 등이다.
지난해 경기 화성시(6700명), 경기 수원시(6000명), 경기 고양시(5000명), 경기 용인시(4900명), 충북 청주시(4800명), 경기 성남시(4400명) 순으로 출생아가 많았다.
인구 자연감소(출생아-사망자)는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명, 사망자 수는 35만2700명이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면서 인구 자연감소는 4년째 지속되고 있다.
특히 작년 4분기에는 4만900명 줄어 분기 기준 자연감소 규모가 처음 4만 명을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