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선행지표 격인 주택담보대출과 거래량이 모두 들썩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급증했고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월에 이어 2월에도 전년 대비 늘어날 전망이다. 각종 지표가 집값 상승 방향을 가리키는 가운데 서울 내에선 지역별로 아파트값 상승 전환 지역도 속속 등장하는 등 반등 기대감이 확산하고 있다.
17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4조7000억 원 증가했다. 2002년 통계 집계 이후 2월 기준으로 역대 세 번째로 많이 늘어난 수준이다. 2월 기준 1위와 2위는 2020년 7조8000억 원, 2021년 6조5000억 원으로 모두 집값 급등기였다. 주택담보대출은 지난 1월에도 4조9000억 원 증가했다. 이 역시 통계 집계 이후 1월 기준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집값 방향을 엿볼 수 있는 아파트 거래량도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서울부동산광장 집계에 따르면, 신고기한(계약 후 30일)이 종료된 1월 아파트 거래량은 총 2571건으로 나타났다. 또 신고기한이 보름가량 남은 2월 거래량은 2150건으로 집계됐다. 남은 기간을 고려하면 1월 거래량을 넘어설 것이 확실하다. 지난해 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413건에 불과했다.
주택담보대출과 거래량 모두 증가하면서 이달 서울 아파트값은 내림세에서 곧 벗어날 조짐을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이 14일 발표한 ‘주간아파트값동향’ 기준으로 이달 둘째 주(11일 기준)에는 광진구(0.02%)와 마포구(0.01%), 영등포구(0.01%), 동작구(0.03%) 등이 상승 전환했다. 송파구(0.03%)는 지난주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고, 용산구와 중구는 전주 대비 상승해 이번 주 보합 전환됐다.
실제로 서울 양천구 목동과 송파구 등 주요 지역 내 핵심단지를 중심으로 손바뀜이 빠르게 진행 중이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아파트실거래가’ 기준 올해 서울 내 거래 많은 단지는 양천구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30건)와 송파구 ‘리센츠’(27건), ‘올림픽선수기자촌’(26건), ‘헬리오시티’(26건) 등으로 집계됐다. 거래량 상위 10위권 안에는 구로구 ‘구로두산’(20건)과 서대문구 ‘DMC파크뷰자이’(19건) 등 그 외 지역에서도 골고루 이름을 올렸다.
이런 반등 분위기는 앞으로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당장 서울을 중심으로 주택 매수 심리도 살아나는 모양새다. 지난 15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2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7.2로 전월보다 4.2포인트(p) 상승했다. 서울의 소비심리지수는 111.4로 전월 대비 7.1p 올랐다. 이 지수는 95 미만이면 하강, 95∼115 미만이면 보합,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구분한다.
또 한국은행은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고가 주택과 PF 부실 우려에도 금융여건 완화 기대와 일부 지역 개발 호재, 수도권 입주 물량 축소 등으로 시장회복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2020~2021년 수준의 집값 급등장 재현은 시기상조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초 금리가 소폭 하락하자 매수 대기 수요가 일시적으로 몰린 상황인 만큼 추가 수요 유입은 더 두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그동안 집값이 하락했고, 새해 이사수요 등 계절적 요인과 저점매수 수요 등이 겹친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최근 거래가 활발한 단지는 아예 고가 아파트거나 아니면 시세 9억 원 이하 단지로 나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장이 완전히 (상승장으로) 돌아설 수 있는 분위기로 가기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대출 때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적용과 대출 금리의 재상승 등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