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잠재 부실 10조 원 훌쩍
금융당국 "안정적"…우려 선 긋기
증권업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위기감이 다시 점화되고 있다. 건전성 지표가 전업권 통틀어 가장 높은 데다, 올해 감당해야 할 잠재 리스크도 10조 원을 넘어서면서 부실 관련 경고음이 곳곳에서 울리고 있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13.73%로 전년 말 대비 3.35%포인트(p) 올랐다.
석 달 전인 지난해 9월 말(13.85%)보다는 0.11%p 낮아졌지만, 여전히 전업권 통틀어서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말 기준 증권사를 제외하고 연체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저축은행(6.94%)로 증권사의 절반 수준이다. 그 다음 △여신전문금융회사 4.65% △상호금융 3.12% △보험 1.02% △은행 0.35% 순이었다.
증권사의 건전성 지표는 매년 악화하는 추세다. 2020년 말 기준 3.37%이던 연체율은 △2021년 말 3.71% △2022년 말 10.38% △2023년 말 13.73%로 치솟고 있다.
이 와중에 대출 잔액도 늘었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7조8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33.3%(1조5000억 원) 늘었다. 같은 기간 대출 규모가 늘어난 곳은 은행(4.6%)뿐이었다.
증권업계의 부동산 PF 위기가 점화된 것은 2022년 본격적으로 금리 인상기가 시작되면서다. 부동산 PF란 미래 수익성을 근거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 기법으로 저금리 시절 증권사들이 적극적으로 뛰어 들어 막대한 이익을 남겼다.
하지만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이자 부담이 늘고 공사비용이 오르자 PF 사업장 상황이 나빠진 곳이 속출했다. 대출이나 지급보증 등 직·간접적으로 PF 사업장에 투자한 증권사도 건전성과 수익성에서 직격탄을 맞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잠재 부실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이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증권사 29곳이 올해 감당해야 할 국내외 부동산 금융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10조3000억 원에 이른다.
익스포저는 금융사의 자산에서 특정 기업이 연관된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신용도 하락이나 채무불이행 등에 따른 경제적 손실 위험에 노출된 금액을 의미한다.
중소형 증권사일수록 부동산 PF 관련 익스포저가 컸다. 중소형 증권사 20개사의 경우 총 3조4000억 원 규모의 부동산 익스포저의 만기가 도래한다. 이중 국내 사업장 브릿지론이 1조7000억 원, 중·후순위 본 PF 대출 익스포저가 1조2000억 원이다.
자본 3조 원 이상의 대형 증권사 9개사의 올해 주요 부동산 익스포저 만기 도래액은 6조9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PF와 관련된 브릿지론이 절반(3조2000억 원)을 차지했다.
다만 금융당국은 금융권의 부동산 PF 관련 위기가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이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며 "그간 건전성 강화 조치로 금융회사가 PF 부실에 대한 충분한 손실 흡수 및 리스크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고 정부도 다양한 정책 수단을 마련하고 추진 중이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