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계약재배 물량 15만 톤까지…사과 생산·유통, 정부 컨트롤 강화한다

입력 2024-04-02 08:00수정 2024-04-02 09: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체 생산량 30% 수준, 배는 6만 톤까지…재해 예방 시설 보급률 30% 목표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이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지난해 이상기후로 사과 생산량이 급감해 가격이 폭등하면서 정부가 사과 생산과 유통에 대한 직접적인 컨트롤을 강화하고 나선다. 정부 계약재배 물량을 최대 30%까지 확대하고, 냉해 등 재해 예방을 위한 시설도 확충한다.

스마트 과수원을 통해 안정적인 사과 생산과 공급을 추진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강원도에 새로운 사과 산지도 조성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의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을 발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최근 사과 재배면적은 증가 추세다. 2019년 사과 재배 면적은 3만2954㏊에서 지난해에는 3만3789㏊까지 늘었다. 생산량도 2019년 53만5000톤에서 생산량 피해를 받기 직전 해인 2022년에는 56만6000톤으로 늘었다.

다만 지난해에는 봄철 냉해와 여름철 호우와 탄저병 등 동시다발적인 재해와 병해충이 발생하면서 사과 생산량은 평년보다 약 30%가 줄어든 39만4000톤에 그쳤다.

박수진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단기적으로 사과 재배 면적은 부족하지 않고, 안정적 생산을 위해 다양한 재해, 병해충에 대비한 생육 관리가 중요한 상황"이라며 "지금까지 과수는 고품질화를 추진하면서 품질경쟁력은 갖췄지만 낮은 가격 경쟁력과 기후 변화 준비도 미흡하다"고 대책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우선 정부는 단기적인 수급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계약재배 물량을 확대한다. 지난해 사과의 정부 계약재배 물량은 4만9000톤으로 올해 6만 톤, 2030년에는 전체 생산량의 약 30%인 15만 톤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배 역시 계약재배 물량을 현재 4만 톤 수준에서 2030년에는 6만 톤까지 늘린다.

박 실장은 "정부 계약재배는 통상 명절 성수품 공급에 주로 활용해 평시 수급 관리에는 한계가 있었다"며 "계약재배 일부 물량은 평시 수요에 공급하고, 특히 수급 상황에 따라 출하 시기와 출하처까지 지정하는 방식으로 운용해 도·소매 등 특정 유통 경로의 가격 급등락에 대응한다"고 밝혔다.

(자료제공=농림축산식품부)

재해 예방을 위한 시설도 확충한다. 현재 1~16% 수준인 냉해와 태풍, 폭염 등 재해 예방 시설 보급률을 2030년 30%로 확충한다. 피해 면적이 넓고 빈도가 잦은 지역에 우선 보급하고, 포도와 감귤 등에 사용하는 비가림 시설을 사과와 배에도 적용해 보급할 예정이다.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과수원은 20㏊ 규모로 단지화해 205년 5곳, 2030년에는 60곳까지 늘린다. 전체 사과 재배 면적의 4% 수준으로 생산량은 8%까지 차지한다. 아울러 기후 변화에 따른 재배 적지 변동에 대응해 정선과 양구, 홍천, 영월, 평창을 강원 5대 사과 산지로 지정해 육성한다.

유통 단계에서는 온라인 도매시장을 활성화해 직거래 비중을 확대해 비용 절감에 나선다. 2030년까지 사과의 온라인 도매시장 유통 비용을 전체 거래의 15%까지 확대하고, 산지-소비자 직거래 비중도 35%까지 높일 계획이다.

이 밖에 재해와 병해충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고, 노란 사과인 골든볼, 초록 배인 그린시스 등 신품종의 시장도 확대할 방침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기후변화는 지금 우리 앞에 직면한 현실"이라며 "국민이 과일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도록 생육 관리와 중장기 생산 체계 전환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유통구조 개선, 소비 트렌드 반영 등을 통해 국산 과일의 경쟁력을 높여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