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F ‘공개 매수’ 韓 증시 떠나자...기업가치·미공개정보에 멍드는 소액주주

입력 2024-05-08 18:17수정 2024-05-09 09: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쌍용C&E, 한온시스템, 커넥트웨이브, 락앤락, 하나투어, 롯데손해보험. 지난해부터 사모펀드(PEF)가 상장폐지 또는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이다.

사모펀드가 보유 중이던 상장회사 지분을 매각하거나 상장폐지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포트폴리오에 상장사가 포함될 경우 투명한 공시와 주가 관리 등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상장폐지를 위해 손쉬운 방법으로는 공개매수를 택하고 있다.

그러나 공개매수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가 새어 주가가 급등하거나, 기존에 주식을 취득했던 소액주주들의 지분 가치가 훼손되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정부가 추진 중인 국내 증시 저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는 거리를 두는 모양새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재 상장폐지를 위한 공개매수를 진행 중인 사모펀드사는 쌍용C&E, 커넥트웨이브, 락앤락 등 3곳이다. 작년 한 해동안 공개매수 후 상장폐지를 완료한 상장사가 MBK파트너스·UCK파트너스의 오스템임플란트, 한앤컴퍼니의 루트로닉 2곳에 그쳤던 점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셈이다.

이미 한앤컴퍼니는 한온시스템을 한국타이어그룹 측에 지분 매각 절차를 진행 중이며, IMM프라이빗에쿼티(PE)도 화장품기업 미샤를 보유한 에이블씨엔씨 매각을 추진 중인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상장사를 털어내는 데 동참하는 PE들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사모펀드들이 기존에 보유했던 상장사를 하나둘씩 정리하는 이유는 상장기업의 번거로움이 꼽힌다. 현행 상법에 따르면 상장회사에는 이사회 안건 공개, 각종 공시 의무 및 규제 등이 적용된다. 상장기업이라는 대외 인지도에 따라 주가가 부진할 경우 시장의 비난도 이어질 수 있다.

한 사모펀드 관계자는 "비상장, 단일주주로 구성된 기업들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소액주주의 참여도가 낮아 신속한 의사결정이 이뤄질 수 있다. 주가 부담을 덜어 경영상의 장기적 판단도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비상장 관계사를 통해 배당금도 챙기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일찍이 사모펀드들은 전문성을 기반으로 비(非)시장성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해왔다. 중앙집중형으로 관리되는 상장 자산보다, 위험도(하이 리스크)는 크지만 향후 기업가치가 인정받을 때 그만큼 높은 수익(하이 리턴)을 손에 넣을 수 있다. 최근 사모펀드들의 비상장 대열 합류를 낯설게 볼 수만은 없는 이유다.

사모펀드(PEF, Private Equity Fund)라는 이름부터도 투자자들로부터 사모방식으로 중장기적 자금을 조달해 새로 창업한 회사나 기대수익률은 높지만 리스크 또한 높은 프로젝트에 투자한다는 뜻이다. 도입 취지에 맞게 일부 사모펀드의 포트폴리오 투자는 비상장법인의 출자금과 비중을 규제받는다.

문제는 공개매수 방식이 기업 가치나 실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이하 어피너티)가 진행한 락앤락 공개매수가는 1주당 8750원이다. 락앤락의 기업가치가 최고조였던 시기 주가는 최대 5만 원을 넘겼고, 2017년까지만 해도 3만 원 선을 유지했던 점을 고려하면 장기보유해왔던 주주들의 자산가치는 반영되기 어렵다.

공개매수 과정에서 미공개정보 유출 의혹도 번번이 지적되는 부분이다. 공개매수 발표 전 주가가 급등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서다. 앞서 락앤락과 커넥트웨이브 모두 공개매수 직전일 주가가 각각 11%, 18% 오르는 급등세를 보였다. 공개매수 정보가 사전에 유출되면서 선행 매매 의혹을 지우기 어려운 대목이지만, 금융당국은 명확한 혐의점을 밝히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