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개국 참가...국가원수 오는 25개국과 정상회담
5월 31일 한‧시에라리온 정상회담...TIPF 체결
경제적 잠재력 기대되는 아프리카...‘전략적 중요성’↑
아프리카 48국 대표단이 참석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의 막이 올랐다. 4~5일 열리는 이번 정상회의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최대 규모 다자 정상회의이자,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국가 간 최초 다자 정상회의다. 정상회의는 물론 이를 계기로 이어질 25개국과의 릴레이 정상회담으로 풍부한 핵심 광물 자원과 개발 잠재력을 가진 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경제 협력 강화의 기회가 열릴지 주목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시에라리온과의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아프리카 외교의 포문을 열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 참석차 공식 방한한 줄리어스 마다 비오 시에라리온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협력 관계를 경제, 농업, 교육 등 분야를 중심으로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시에라리온은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공식 방한하는 4개국(시에라리온‧탄자니아‧에티오피아‧모리타니) 중 하나로, 이날 정상회담은 25개국 릴레이 정상회담 중 첫 번째다.
양국은 ‘무역투자촉진 프레임워크’(TIPF‧Trade and Investment Promotion Framework)를 체결했다. TIPF는 자유무역협정(FTA) 핵심인 관세 양허(讓許·축소 또는 철폐)를 배제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으로, 시장 개방은 다루지 않는 MOU다. 정부는 TIPF로 양국 간 교역 품목 다변화와 호혜적인 투자 협력을 증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한국의 벼 종자를 공급하고 쌀 재배 기술을 전수하는 공적개발원조(ODA)인 ‘K-라이스벨트 사업’을 토대로 식량 안보 협력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외교‧안보에서도 양국은 북한의 지속적 도발에 함께 우려를 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이행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아프리카와의 외교에 공을 들여왔다. 윤 대통령은 취임 첫해 22년 11월 ‘아프리카의 밤’ 행사를 개최했고, 이때 이번 정상회의 개최 계획을 밝혔다.
당시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15년간 아프리카 ODA를 10배 이상 늘려왔지만 현장에선 충분치 않다는 목소리가 크다”며 “이 규모를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한국 기술‧경험을 공유하는 한국형 개발협력사업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 출범 이후 17개 아프리카 국가들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아프리카의 경제적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지난달 29일 발간한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3.8%, 내년에도 4.1% 고성장이 전망된다.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2000년 이후 세계 평균치를 상회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은 전체 인구의 60%가 25세 이하로 구성돼 있고,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곳이다.
무엇보다 전 세계 광물의 3분의 1이 아프리카에 매장돼 있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인 코발트의 52%가 아프리카에 있으며, 리튬 매장량도 상당하다. 아프리카 주요국의 재정‧외화 수입의 원천 역시 광물 자원으로, 중국 등 경제대국도 집중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아프리카 광산들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배터리 공급망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도 개발회의, 정상회의 등을 통해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핵심 6대 광물(리튬‧니켈‧코발트‧흑연‧희토류‧백금) 중 흑연을 제외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한다. 특히 중국 의존율이 높아 공급망 확보 및 다변화가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내년부터 국내 배터리‧전기차사는 미 재무부‧에너지부‧국세청이 지정한 중국‧러시아‧북한‧이란의 해외우려단체(FEOC)에서 나오는 핵심 광물을 사용하면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지난달 30일 브리핑에서 “아프리카의 전략적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며 “반드시 협력해야 할 국가”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 첫날인 4일엔 개회식을 비롯해 △정상회의 오전 세션 △기념촬영과 친교 오찬 △정상회의 오후 세션이 진행된다. 이튿날인 5일에는 ‘2024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이 열린다.
정부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수혜국에서 공여국이 된 경험을 공유하며 협력문서를 통해 교역과 투자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각국 산업 수준과 경제 격차를 감안해 농업‧수산업‧인프라 등 분야별 맞춤형 협력도 추진한다. TIPF를 시작으로 한국과 아프리카 간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논의 불 붙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