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자산운용사 관계자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다. 이들은 싱가포르 및 홍콩 지역을 총괄하는 해외 운용사의 한국 지점에서 왔기 때문에 국내 자본시장에 대해 관심과 이해도가 높을 거라고 생각하고, 평상시 가장 궁금했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한국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아시나요?” 외국인 투자자들은 얼굴에 의아함을 띄운 채 “처음 들어본다.”라고 답했다. 순간 그들과 내 사이에는 민망한 공백이 감돌았다. 잠시 맥이 빠지는 것 같았지만, 연초부터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해온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열심히 설명했다.
그제야 외국인 투자자들은 조금은 이해한 듯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에서 밸류업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었다는 사실은 몰랐다는 분위기였다. 이 자리에는 운용역이 아닌 영업총괄들도 있었기에 ‘모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고, 며칠 뒤 글로벌 투자자들과 직접 영상통화를 하며 밸류업에 대해 다시 질문해봤다. 이들 가운데에도 몇몇은 밸류업을 모르기 마찬가지였다.
참 이상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지난달 일본 도쿄와 미국 뉴욕을 찾아 ‘K-밸류업 글로벌 로드쇼’를 열고 밸류업 투자설명회(IR)를 진행했을 때 “한국 시장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과 기대가 당초 예상보다 컸다”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금융당국과 관계기관도 밸류업 세일즈를 위해 국내·외 총력을 다하고 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삼성 글로벌 인베스터스 컨퍼런스’에서 국내 및 해외 투자자 1000여 명을 대상으로 밸류업 추진에 대해 발표했고, 금융투자협회도 일본증권협회장과 밸류업 가이드라인 간담회를 개최했다.
해외 투자자들을 만나고 온 기관장들과 한국에 직접 방문한 현지 운용사들의 반응이 이처럼 갈리는 것은 밸류업 프로그램이 도입된 지 반년 넘게 흘렀음에도 밸류업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그다지 높지 않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이후 계속됐던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행렬은 지난달부터 매도 우위로 전환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올해 들어 4월까지만 해도 월평균 4조 원 이상씩 꾸준히 순매수해왔다. 외국인 자금 이탈은 코스피 지수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2700선을 간신히 지지하고 있지만, 미국, 일본 등 여타 글로벌 증시와 비교해서는 상승 대열에 합류하지 못하고 소외되는 모습이다. 외국인 지분율과 코스피가 하락하자 4월 중 1400원을 고점으로 줄곧 떨어졌던 원·달러 환율도 최근 1380원대까지 재차 상승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까지 밸류업 열기가 확산하지 못한 이유는 유인책이 외국인보다 상대적으로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관심이 높은 배당 확대, 자사주 등 단기적인 해법 위주로 활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밸류업 효과는 국내 개미(개인투자자)들의 자금만 끌어모아서만 올릴 수 없다. 티끌 모아 티끌일 뿐이다.
외국계 투자 자금이 중요한 국내 시장에서는 해외 기관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개선되고, 자금이 유입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한국 증시가 외국인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시장으로 성장하려면 외국인들의 주목이 쏠려 있는 더 강력한 밸류업 유인책을 제시해야 한다.
대표적인 점이 주주친화적이지 못한 기업 지배구조다. 블룸버그 등 해외 유수 언론에서도 한국의 대기업은 기업 지배구조 개선에 소극적인 재벌가들이 대부분 지배권을 쥐고 있기 때문에 밸류업 정책이 기업 지배구조 개선에 더욱 강제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공매도 관련 혼선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를 꺾는 부분이다. 금융정책을 두고 정치적 불안정성이 지속하는 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안정된 투자를 하기 어렵다. 한국은 오는 21일 발표되는 MSCI 선진지수 평가에서 공매도 제도 부분이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밸류업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저평가)를 해소하고 싶다면, 개인투자자들의 목소리뿐 아니라 외국인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에 기대하는 방안을 더 강화해야 한다. 연속성 없이 일시적인 밸류업 정책만으로 한국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