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한은에 따르면 2분기 실질 GDP 증가율(속보·전분기 대비)은 마이너스(-) 0.2%를 기록했다. 2022년 4분기(-0.5%)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2.8% 증가했다. 2022년 상반기(3.2%) 이후 최고치다. 1분기 GDP(1.3%)가 깜짝 실적을 거둔데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민간소비와 순수출 기여도가 모두 감소 전환한 영향을 받았다.
이에 민간소비 부진을 완화하기 위해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졌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성장률 부진으로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2.4%로 하향하나, 전반적인 성장 경로는 기존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며 “내수 회복이 여전히 미약한 상황임을 재확인했기 때문에 최근 주택가격 상승, 가계부채 증가 등에도 한은의 연내 금리 인하 필요성이 더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도 “한은이 10월에 금리인하에 착수한 이후 내년 1분기까지 75bp(1bp=0.01%p) 인하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한다”면서 “수출이 회복하고 있지만 내수부진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서, 물가상승률이 2.5%를 밑도는 구간에서는 한은이 경기 대응을 위한 긴축 강도 축소에 방점을 더욱 실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반면 한은이 내수 부진보다 금융안정을 더 유의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김현성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소비, 투자, 물가의 전반적 둔화와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고조 등에도 7월 한은 금통위에서 이창용 총재는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증가와의 유의미한 관계를 언급하며 금융안정을 강조한 바 있다”며 “한은의 올해 금리 인하 횟수가 기존 2회에서 1회로 축소될 가능성이 커졌는데, 이를 감안하면 성장률은 시장 컨센서스 2.5%를 소폭 하회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김진욱 씨티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도 “2분기 GDP 위축에도 불구하고 국내 금융안정 이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다음 달 22일 한은 금통위의 비둘기파적 성향이 약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김 수석이코노미스트는 “8월 금통위에서 비둘기파 금통위원은 1명(신성환 위원)만이 금리 인하 소수의견을 표명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며 “10월 24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서 △8~9월 정부의 긴축정책 △서울지역 주간 주택가격 안정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에 따른 부정적 영향 등 세 가지를 전제로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한은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통위는 다음달 22일, 10월 11일, 11월 28일 예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