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 부동산 PF 폭탄에 부실위험 '적신호'...2분기 부실채권 12조 넘어

입력 2024-07-29 09:39수정 2024-07-29 09: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 5년 만에 최고치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른 재평가, 책임준공형 관리형(책준형) 사업장 재분류 등 영향

고금리 장기화와 엄격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기준으로 금융권의 대출의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5대 금융지주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NPL) 잔액은 지난 2분기 기준 12조원을 넘어섰으며,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뛰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2분기 기준 고정이하여신은 약 12조3930억 원으로 집계됐다.

총여신(2002조4354억 원) 대비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2%로, 2019년 1분기(0.63%) 이후 가장 높았다.

5대 금융 중에는 KB금융과 신한금융이 0.68%로 높은 편이다. KB금융은 2018년 1분기(0.70%) 이후, 신한금융은 2017년 2분기(0.72%) 이후 최고치다.

농협금융이 0.59%로 뒤를 이었다. 역시 2020년 1분기(0.6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은 0.56%로 집계됐다. 하나금융은 2019년 2분기(0.56%) 이후, 우리금융은 2019년 1분기 지주사 출범 이후 최고치였다.

은행권 관계자는 "2분기 고정이하여신이 늘어난 것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른 재평가, 책임준공형 관리형(책준형) 사업장 재분류 등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5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로 세분화한 뒤, 금융사들에 엄격해진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라 부동산 PF 사업장을 재평가하도록 했다.

책준형 토지신탁의 경우 PF 사업장 시공사가 준공기한을 지키지 못하면 부동산신탁사에 책임준공 의무가 발생한다. 부동산신탁사가 대체 시공사 선정 등을 통해 기한 내에 준공을 마무리하지 못하면 부동산신탁사의 우발채무가 현실화할 수 있어 PF 관련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5대 금융은 부동산 PF와 관련해 2분기 추가충당금(충당부채)도 적립했다. 신한금융은 부동산 PF에 대한 개별 사업성 평가 등을 통해 2714억 원의 추가충당금을 적립했다고 했다. 부동산 자산신탁 책준형 관련 1827억 원,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관련 886억 원 등이다.

우리금융은 2분기 PF와 관련해 충당금 약 800억 원을 쌓았다고 밝혔다. KB금융도 2분기 부동산신탁에서 쌓은 충당금이 800억 원 정도라고 밝혔다. 하나금융은 PF 충당금으로 408억 원을 추가 적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