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국제국은 13일 “거주자외화예금이 국내은행을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외은지점을 통한 해외로부터의 단기 외화조달 의존도가 상당히 줄어들었고, 대외 고유동성 자산이 크게 증가해 외화 자산·부채구조가 개선됐다”며 “거주자외화예금확대 정책이 지속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해당 분석 내용은 이날 발간한 ‘BOK 이슈노트 - 거주자외화예금의 특징과 시사점:변동요인 및 차입금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담았다.
거주자외화예금에 대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정부의 거시건전성 강화 노력 등으로 빠르게 증가해 외국환은행의 주요 외화조달원이 됐다. 2012년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공동으로 마련한 ‘외화예금 확충방안’이 시행되면서 2013년부터 거주자외화예금 증가 속도는 빨라졌다.
작년 말 기준 외국환은행의 외화조달원(파생상품, 기타 경과성계정 등 제외) 중 외화차입 비중은 40.5%로 나타났다. 2009년 말에 17.8%에서 두 배 이상 확대된 것이다. 반면 외화차입 비중은 같은 기간 43.2%에서 19.6%로 줄었다.
연구팀은 거주자외화예금이 △위기에 강한 외화자금 △국내은행 외화자산·부채 구조 개선 기여 △낮은 조달금리의 특징으로 차입금보다 우수한 외화조달원으로 평가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팬데믹 위기 시 파생거래 증거금 관리 등을 위한 비은행금융기관의 외화자금 수요 급증으로 외화자금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나타냈으나 거주자외화예금의 유입이 지속하면서 시장안정화에 기여했다”고 부연했다. 2022년 하반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기에는 대외 차입금 상환에도 불구하고 거주자외화예금의 유입으로 외화자금시장의 유동성이 위기 전보다도 양호한 모습이었다는 것이다.
또한 외은지점을 통한 해외로부터의 차입의존도가 줄어들었고, 단기·고유동성 대외자산으로 운용돼 국내은행의 위기대응능력을 강화했다고 진단했다. 외국환은행의 대외 부채(원화 제외) 대비 단기자산 비율은 2009년 38.4%에서 작년 말 124.6%로 상승했다. 국내은행의 외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비율(연평균)은 2016년 말 89%에서 2023년 156%로 올랐다.
연구팀은 여러 장점에도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 비중이 낮은 만큼 거주자외화예금 확대 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작년 말 기준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 비중은 5.4%다. OECD 21개국 평균치인 20.1%를 한 참 밑돈다. 2012년에 발표했던 외화예금 확충방안이 제시한 최종목표 10% 이상과 비교했을 때도 현저히 낮다.
연구팀은 “거주자외화예금이 국내은행을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외은지점을 통한 해외로부터의 단기 외화조달 의존도가 상당히 줄어들었고, 대외 고유동성 자산이 크게 증가해 외화 자산·부채구조가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불확실성 증대 시 수출입기업의 예비용 자금 확보는 국내은행의 유동성 확보에는 도움이 되지만 현물환 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수출입기업의 환 리스크 관리 행태와 수단을 점검하고 이러한 행태가 현물환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