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지속 가능한 ‘바이오플랜트’ 새 기준 제시 목표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기준으로 무역협정에 적용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ESG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도 제조시설에 친환경 정책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제조 시설과 과정에 대한 ESG 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기업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꼽힌다. 지난달 6일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최초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의 주요 ESG 실천지표인 PSCI(의약품공급망 이니셔티브)에 가입했다.
앞서 지난해 6월 유엔(UN) 산하인 유엔 글로벌 콤팩트(UNGC)에 가입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 가능한 시장 이니셔티브’의 일환인 ‘테라 카르타 실(Terra Carta Seal)’을 수상했다. 대내외 평가와 수상으로 ESG 경영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러한 성과를 더 확장할 계획이다. 회사는 내년 준공 예정인 제5공장의 설계부터 건설·운영까지 친환경을 고려했다. 고효율 보일러, 조명 제어 시스템 등 에너지 효율이 높은 인프라로 구축되며, 외부 난방열과 용수 재이용 설비 등 에너지 절감 아이템이 도입된다.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최소화를 위해 친환경 건설공법을 채택했다. 탄소 발생량을 50% 절감할 수 있는 저탄소 그린 시멘트를 사용했고, 벽체 재료로 페인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일체형 패널을 적용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공장 가동 후엔 에너지관리시스템(FEMS)을 적용,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해 탄소 절감 방안을 지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다. 또 옥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연간 약 534톤(t)의 탄소 배출량 감소 효과가 예상되는 1163MWh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기로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5공장을 필두로 제2바이오캠퍼스를 저탄소 친환경 사업장으로 운영해 지속 가능한 바이오플랜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셀트리온도 환경 경영을 위해 공장 설비를 재정비 중이다. 지난해 2공장 사무공간을 대상으로 기존 형광등 165W를 55개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교체하는 설비 투자를 진행했다. 이러한 에너지 절감 조치를 통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약 19.09tCO2eq(이산화탄소 환산 톤)를 감축하고 기존 형광등 전력사용량을 50% 절감하는 효과를 달성했다.
또 인천종합에너지와의 열에너지 공급계약으로 2023년 글로벌생명공학연구센터 내 난방·급탕 및 냉방을 위한 열에너지 약 1.3만Gcal(기가칼로리)를 공급받았다. 셀트리온은 지속적인 배출 저감 프로그램 운영 및 확대로 배출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셀트리온은 제조 과정에서 친환경 정책도 꾸준히 펼친다. 총 7개 공장에서 자사 제품 포장에 사용하는 2·3차 포장재의 친환경성 제고 가능성을 평가하고 포장자재 종류별로 친환경성 향상에 공을 들이고 있다. 카톤, 제품설명서, 3차 포장박스의 경우 국제산림관리협의회(FCS) 인증 제품을 사용하고, 라벨은 화학 잉크 대신 콩기름 잉크를 사용해 친환경 포장재 사용을 강화했다.
일동제약도 지난달 청주공장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축해 환경 문제 해결 동참과 ESG 경영 확대에 나섰다.
청주공장은 올해 초 ‘2024년 충북 청주 스마트그린산단 촉진 사업’ 대상 시설로 선정돼, 지난달 1000kWh급 자가 소비형 발전시설을 준공하고 가동에 돌입했다. 자가발전 시설 운영으로 향후 전기 요금 절감은 물론 태양광 패널의 차광 역할에 따른 사업장 온도 관리상의 이점 등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
대웅제약도 친환경 제조 공정 실현을 위해 공장 내 냉동기와 유틸리티를 고효율 기기로 교체하고, 모든 전등을 100% LED로 전환했다.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지열시스템 설치를 통해 탄소 배출 저감에도 기여하고 있다.
다만 제약바이오 업계의 ESG 경영 실천율은 타 업종에 비해 낮은 편이다. ESG행복경제연구소가 8월 조사한 업종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현황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28곳 중 14곳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를 하지 않는 등 공시율은 50%다. 국내에선 아직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자율 공시 대상이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2025년부터 자산 2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2030년부터 전체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가 의무화되는 만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ESG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