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시간 제한 4곳뿐이지만 배후진료 역량 진료과목별 편차 커
중증·응급의료 후속진료 역량이 가파르게 소진되고 있다.
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개소 중 27종 중증·응급질환별 진료 가능 기관은 평균 88곳으로 전주 목요일인 지난달 19일(102곳) 대비 14곳 줄었다. 평시(109)에 비해선 21곳 적다. 이들 중 운영시간을 제한하는 응급실은 4곳에 불과하지만, 응급진료 후 배후진료 역량은 진료과목별로 편차가 크다.
질환별로 복부 대동맥응급, 담낭담관질환, 위장관 응급대시경, 성인 응급내시경, 중증화상, 안과적 응급수술 등이 가능한 기관이 큰 폭으로 줄었다. 특히 성인 응급내시경 가능 기관은 60곳으로 평시(109곳)의 절반 수준이며, 중증화상과 안과적 응급수술이 가능한 기관은 각각 28곳, 47곳에 불과하다. 중증화상 진료 가능 기관은 1주 새 38곳에서 28곳으로 급감했으며, 안과적 응급수술 가능 기관은 평시 75곳에서 매주 감소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추석 연휴 응급의료 특별대책’에서 후속진료 역량 강화를 위해 응급실 진료 후 수술·처치·마취 등 행위에 대한 수가 가산 인상 계획을 발표했으나, 아직 큰 효과를 못 보고 있다.
정윤순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의료체계의 안정적 유지와 작동은 정부의 정책과 지원만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의료를 이용하는 국민과 의료를 제공하는 의료진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의 역할을 다해주실 때 가능하다”고 호소했다.
그나마 응급실에 내원하는 경증·비응급환자는 평시의 77% 수준에 머물고 있다. 경증·비응급환자는 ‘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기준(KTAS·케이타스)’ 4~5등급 환자로, 심하지 않은 배뇨통이나 발열을 동반한 복통, 두드러기 등(이상 4등급·경증), 탈수증상이 없는 설사나 심하지 않은 물린 상처, 발목 염좌를 비롯한 근융 통증, 상처 소득 등(이상 5등급·비응급)이 해당한다.
정 실장은 다만 “이런 기준으로 환자 스스로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같은 질환이라도 얼마나 위중한지 또는 긴급한지에 대한 전문적인 판단이 필요하다”며 “큰 병이라고 생각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안내에 따르시면 된다. 119는 중증도에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지 않으면 증상 발생 시 동네 병·의원이나 중소병원 응급실을 먼저 방문해 달라”며 “진찰 결과 중증이라고 판단되면 큰 병원으로 이송 가능하다”고 부연했다.